2일 시작된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의 압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현대 미국 정치의 물줄기를 바꾼 다른 중간선거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에스에이(USA) 투데이’에 따르면 현직 대통령에게 커다란 정치적 타격을 안겨준 대표적인 선거 중 하나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대공황의 극복을 위해 뉴딜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던 상황에서 실시된 1938년 중간선거.
당시 민주당 소속 루스벨트 대통령이 추진하는 뉴딜정책에 대한 염증 그리고 개혁정책에 발목을 잡는 대법원의 개혁을 추진하는데 대한 불만이 증폭되면서 공화당은 다수당이 되지는 못했지만 하원에서 81석을 늘리는 대승을 거둔다. 공화당은 중간선거 승리를 계기로 민주당 내 보수파와 함께 뉴딜정책의 종식을 적극 추진하게 됐고, 루스벨트 대통령은 결국 최우선 국정과제를 제2차 세계대전 수행으로 바꾸게 된다.
루스벨트 대통령이 사망하고, 2차대전이 종식된 지 1년 후에 실시된 1946년 선거도 워싱턴의 권력지도를 대폭적으로 바꾼 선거로 평가된다. 당시 경제가 침체를 면치 못하면서 유권자들은 1932년 선거이후 의회를 장악해온 민주당에 대한 불만을 표로 분출시켰다. 그 결과 공화당은 하원 55석, 상원 13석을 추가하며 의회의 다수당이 됐다. 하지만 당시 공화당은 민주당 소속 해리 트루먼 대통령 정권의 국정운영에 사사건건 발목을 잡다 2년 뒤 실시된 대선에서 트루먼 후보가 다시 공화당의 토머스 듀이 후보를 누르고 승리하게 하는 역풍을 자초했다.
1960년대 들어서는 1966년 중간선거가 정국의 중대한 분수령이 된 선거로 꼽힌다. 린든 존슨 대통령과 민주당이 1964년 선거에서 대승을 거두며 백악관과 의회를 장악해 ‘위대한 사회 건설’과 민권법 통과의 기초를 쌓았지만 2년 뒤 베트남전, 인종폭동, 인플레이션 등이 악재가 되어 공화당이 하원에서 47석을 늘리는 승리를 거둔다.
당시 민주당이 의회의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존슨 대통령의 야심 찬 개혁정책은 의회에서 공화당의 반대에 직면하게 돼 추동력을 잃게 됐다. 특히 1966년 선거에서 지원유세로 맹위를 떨친 리처드 닉슨은 2년 뒤 대통령에 당선된다.
워터게이트 스캔들로 닉슨 대통령이 사임한 지 몇 달 뒤에 실시된 1974년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하원 49석, 상원 4석을 추가하며 대승을 거둔다. 이 선거를 통해 대거 의회에 진출한 ‘워터게이트 베이비’중에는 패트릭 레이히 상원법사위원장(민주, 버몬트), 짐 오버스타(민주, 미네소타) 및 헨리 왁스만(민주, 캘리포니아) 하원의원 등이 있다.
하지만 2년 뒤인 1976년 대선에서 공화당은 경기침체와 파나마운하 비준 여파로 민주당의 지미 카터 후보에게 백악관을 내줬고, 민주당은 여세를 몰아 1978년 중간선거에서 하원 15석, 상원 3석을 추가하며 의회를 장악한다. 이 선거는 특히 전통적으로 민주당 텃밭으로 분류되던 남부지방에서 공화당 의원들이 대거 당선되는 계기가 됐다.
1982년 선거의 경우 공화당소속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경제정책인 ‘레이거노믹스’가 아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민주당이 이를 집중 공격하면서 26석을 추가하며 하원의 다수당이 됐다. 그러나 2년후인 1984년 대선에서 레이건은 경제정책이 빛을 보면서 49개주 승리라는 대승을 거둔다.
빌 클린턴 행정부 하에서 실시된 1994년 선거의 경우 공화당이 뉴트 깅리치의 지도력 아래 ‘미국과의 계약’이란 공약 제시를 통해 40년 만에 처음으로 공화당이 상하원을 모두 장악하는 선거혁명을 이룬 선거가 됐다.
반면 공화당소속의 조지 부시 행정부 하에서 실시된 2006년 중간선거에서는 이라크전, 허리케인 카트리나 대처 미흡, 사회보장보험의 민영화가 악재로 작용하면서 민주당이 하원 31석, 상원 6석을 추가하며 상하원을 모두 장악해 2008년 대선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탄생을 위한 기초를 쌓았다.
애틀랜타=연합뉴스
‘유에스에이(USA) 투데이’에 따르면 현직 대통령에게 커다란 정치적 타격을 안겨준 대표적인 선거 중 하나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대공황의 극복을 위해 뉴딜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던 상황에서 실시된 1938년 중간선거.
당시 민주당 소속 루스벨트 대통령이 추진하는 뉴딜정책에 대한 염증 그리고 개혁정책에 발목을 잡는 대법원의 개혁을 추진하는데 대한 불만이 증폭되면서 공화당은 다수당이 되지는 못했지만 하원에서 81석을 늘리는 대승을 거둔다. 공화당은 중간선거 승리를 계기로 민주당 내 보수파와 함께 뉴딜정책의 종식을 적극 추진하게 됐고, 루스벨트 대통령은 결국 최우선 국정과제를 제2차 세계대전 수행으로 바꾸게 된다.
루스벨트 대통령이 사망하고, 2차대전이 종식된 지 1년 후에 실시된 1946년 선거도 워싱턴의 권력지도를 대폭적으로 바꾼 선거로 평가된다. 당시 경제가 침체를 면치 못하면서 유권자들은 1932년 선거이후 의회를 장악해온 민주당에 대한 불만을 표로 분출시켰다. 그 결과 공화당은 하원 55석, 상원 13석을 추가하며 의회의 다수당이 됐다. 하지만 당시 공화당은 민주당 소속 해리 트루먼 대통령 정권의 국정운영에 사사건건 발목을 잡다 2년 뒤 실시된 대선에서 트루먼 후보가 다시 공화당의 토머스 듀이 후보를 누르고 승리하게 하는 역풍을 자초했다.
1960년대 들어서는 1966년 중간선거가 정국의 중대한 분수령이 된 선거로 꼽힌다. 린든 존슨 대통령과 민주당이 1964년 선거에서 대승을 거두며 백악관과 의회를 장악해 ‘위대한 사회 건설’과 민권법 통과의 기초를 쌓았지만 2년 뒤 베트남전, 인종폭동, 인플레이션 등이 악재가 되어 공화당이 하원에서 47석을 늘리는 승리를 거둔다.
당시 민주당이 의회의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존슨 대통령의 야심 찬 개혁정책은 의회에서 공화당의 반대에 직면하게 돼 추동력을 잃게 됐다. 특히 1966년 선거에서 지원유세로 맹위를 떨친 리처드 닉슨은 2년 뒤 대통령에 당선된다.
워터게이트 스캔들로 닉슨 대통령이 사임한 지 몇 달 뒤에 실시된 1974년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하원 49석, 상원 4석을 추가하며 대승을 거둔다. 이 선거를 통해 대거 의회에 진출한 ‘워터게이트 베이비’중에는 패트릭 레이히 상원법사위원장(민주, 버몬트), 짐 오버스타(민주, 미네소타) 및 헨리 왁스만(민주, 캘리포니아) 하원의원 등이 있다.
하지만 2년 뒤인 1976년 대선에서 공화당은 경기침체와 파나마운하 비준 여파로 민주당의 지미 카터 후보에게 백악관을 내줬고, 민주당은 여세를 몰아 1978년 중간선거에서 하원 15석, 상원 3석을 추가하며 의회를 장악한다. 이 선거는 특히 전통적으로 민주당 텃밭으로 분류되던 남부지방에서 공화당 의원들이 대거 당선되는 계기가 됐다.
1982년 선거의 경우 공화당소속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경제정책인 ‘레이거노믹스’가 아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민주당이 이를 집중 공격하면서 26석을 추가하며 하원의 다수당이 됐다. 그러나 2년후인 1984년 대선에서 레이건은 경제정책이 빛을 보면서 49개주 승리라는 대승을 거둔다.
빌 클린턴 행정부 하에서 실시된 1994년 선거의 경우 공화당이 뉴트 깅리치의 지도력 아래 ‘미국과의 계약’이란 공약 제시를 통해 40년 만에 처음으로 공화당이 상하원을 모두 장악하는 선거혁명을 이룬 선거가 됐다.
반면 공화당소속의 조지 부시 행정부 하에서 실시된 2006년 중간선거에서는 이라크전, 허리케인 카트리나 대처 미흡, 사회보장보험의 민영화가 악재로 작용하면서 민주당이 하원 31석, 상원 6석을 추가하며 상하원을 모두 장악해 2008년 대선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탄생을 위한 기초를 쌓았다.
애틀랜타=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