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대지진> 환자·노인들 ‘이중고’

<日대지진> 환자·노인들 ‘이중고’

입력 2011-03-15 00:00
수정 2011-03-15 1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지진과 쓰나미(지진해일)가 일본 동북부를 휩쓸고간 지 나흘째인 14일 미야기(宮城)현 센다이(仙臺)시 인근 다가조(多賀城)의 세넨 병원.

악취가 진동하는 캄캄한 병실에는 환자 120명이 침대에 누워, 또는 휠체어에 푹 눌러앉아 신음하고 있었다.

파란 환자복을 입은 한 노인은 “음식이 없다”고 울부짖었다.

지난주 일본을 뒤흔든 강진과 쓰나미는 노쇠하고 병든 몸으로 병원에 입원한 채 고통을 겪고 있던 노인들에게 형언할 수 없는 또다른 고통을 안겨주고 있었다.

아직까지 얼마나 많은 병원이 파괴됐는 지조차 집계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피해를 보지 않은 곳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 지원팀을 보낸 ‘국경없는의사회(MSF)’의 샘 테일러 대변인은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병약한 노인들이 음식과 물, 의약품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의료기기도 파손됐다.

그는 “당장 쓸 약은 확보하고 있지만 몇주 후면 정말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진 발생 당시 세넨 병원에는 200명의 환자가 있었는데 벌써 90세 이상의 환자 4명이 숨졌다.

병원에는 전기와 물도 끊겨 처음 이틀간 의사와 간호사들은 냉동고에서 간신히 꺼낸 언 국수와 야채를 환자들과 나눠 먹었다. 간호사들은 더럽혀진 정맥주사 팩을 잘라서 열었고 흙이 잔뜩 뭍은 약봉지를 알코올로 문질러 씻었다.

또 며칠간 수백명의 사람이 물이 끊긴 화장실을 이용하면서 속이 뒤틀릴 정도의 악취가 병원 안에 진동했다.

첫 이틀간은 정부 당국으로부터 아무런 지원이 없었다. 나흘째 되는 14일 주먹밥이 제공됐고, 지역 가스 회사는 음식과 물을 데울 수 있는 난로를 설치했다.

하지만 의료진은 병원으로 몰려드는 사람들에게 “죄송하다. 약이 없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 이들 중 대다수는 노인들이다.

병원 관계자는 지방 정부에 상당수 환자들의 상태가 악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렸지만 “상황이 금방 해결될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병원에 있는 사람들은 물론 바깥의 일반 생존자들도 하루하루 힘겹게 연명하고 있다.

병든 어머니와 가족들, 이웃들에게 줄 음료수 박스를 자전거에 싣고 가던 오사무 하야사카(61)씨는 정부가 대피소로 가지 않은 사람들에게 아무것도 제공하고 있지 않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우리 집 근처에도 노인들이 많이 살고 있다. 그래서 그들에게 일부를 나눠줄 생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