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만들어낸 가장 위험한 발명품이 또다시 본색을 드러내는가.
일본 대지진으로 타격을 입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태가 최악의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15일 제1원자력발전소의 2호기에서 폭발이 일어난 데 이어 4호기마저 폭발하면서 지붕 일부가 파손되고 화재가 발생했다.
일본 당국은 대규모 방사성물질 유출 가능성은 낮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아마노 유키야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14일(현지시간) “후쿠시마 원전은 체르노빌과는 설계와 구조가 다르다.”면서 “지진 직후 자동으로 원전 가동이 중단돼 방사성물질 유출 같은 연쇄 반응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1986년 폭발한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과 이번 후쿠시마 원전은 설계 단계부터 구조적인 차이가 있을뿐더러 사고 원인도 판이하게 다르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직원의 부주의로 인해 원자로가 정지될 정도로 출력이 낮아진 상태에서 급히 출력을 올리자 핵연료가 순간적으로 파열되면서 발생했다. 대응 매뉴얼이 정해져 있지 않은 완벽한 인재였던 셈이다.
원전 반경 48㎞ 일대는 25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출입금지 구역이다. 체르노빌 원전은 고온에서 불이 잘 붙고 폭발성이 높은 흑연을 감속재로 사용한 데다, 별도의 격납용기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해가 컸다.
반면 이번 후쿠시마 원전은 1979년 발생한 미국의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와 유사하다. 노심이 용해되더라도 격납용기가 방사성물질 유출을 막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1~4호기에서 잇따라 일어난 폭발은 원자로의 중심인 ‘노심’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냉각수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빼내는 과정에서 외부의 수소와 반응한 ‘수소폭발’의 형태다. 나오토 세키무라 도쿄대 교수는 “최악의 경우 일부 방사성물질 유출이나 시설 손상이 있을 수는 있지만 핵물질의 폭발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지진으로 균열이 생긴 원전에 외부폭발 등으로 충격이 가해지면서 격납용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이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일본 대지진으로 타격을 입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태가 최악의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15일 제1원자력발전소의 2호기에서 폭발이 일어난 데 이어 4호기마저 폭발하면서 지붕 일부가 파손되고 화재가 발생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1986년 폭발한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과 이번 후쿠시마 원전은 설계 단계부터 구조적인 차이가 있을뿐더러 사고 원인도 판이하게 다르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직원의 부주의로 인해 원자로가 정지될 정도로 출력이 낮아진 상태에서 급히 출력을 올리자 핵연료가 순간적으로 파열되면서 발생했다. 대응 매뉴얼이 정해져 있지 않은 완벽한 인재였던 셈이다.
원전 반경 48㎞ 일대는 25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출입금지 구역이다. 체르노빌 원전은 고온에서 불이 잘 붙고 폭발성이 높은 흑연을 감속재로 사용한 데다, 별도의 격납용기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해가 컸다.
반면 이번 후쿠시마 원전은 1979년 발생한 미국의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와 유사하다. 노심이 용해되더라도 격납용기가 방사성물질 유출을 막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1~4호기에서 잇따라 일어난 폭발은 원자로의 중심인 ‘노심’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냉각수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빼내는 과정에서 외부의 수소와 반응한 ‘수소폭발’의 형태다. 나오토 세키무라 도쿄대 교수는 “최악의 경우 일부 방사성물질 유출이나 시설 손상이 있을 수는 있지만 핵물질의 폭발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지진으로 균열이 생긴 원전에 외부폭발 등으로 충격이 가해지면서 격납용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이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03-1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