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기… 안전성 따져보니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원전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원전은 지진과 지진해일에 안전한지를 두고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남 영광에 6기, 부산 고리에 5기, 경주 월성에 4기, 경북 울진에 6기 등 모두 21기의 원전을 운영 중이다.15일 정부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등은 우리 원전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 발표와 외신 등에 따르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경우 지진보다 지진해일에 더 큰 피해를 입었다. 진도 9.0의 강진에도 원전 구조물들은 별다른 피해가 없었다. 하지만 지진에 이은 지진해일로 인해 전기가 끊기고, 원자로를 냉각시키기 위한 비상용 디젤발전기와 배터리까지 무용지물이 되면서 원자로의 온도가 계속 올라가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최대의 원전 사고에 직면해 있다.
우리나라 원전도 경수로에는 전기가 끊어지는 상황에 대비해 비상용 디젤발전기와 대체 교류전원(ACC) 디젤발전기가, 중수로에는 예비 디젤발전기(SDG) 및 비상 디젤발전기(EPS)가 설치돼 있다. 하지만 대규모 지진해일에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에서 보듯 이 같은 준비도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일본과 동해를 사이에 두고 있는 우리도 결코 지진해일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전문가들은 일본 서쪽에서 진도 7 이상의 대지진이 일어날 경우 우리나라에도 불과 수십분 이내에 지진해일이 몰려오는 것으로 예측했다. KINS의 시뮬레이션 결과 일본 서쪽에서 진도 7.5의 강진이 발생하면 우리나라 해안에는 1~3m의 지진해일이 덮치는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6기의 원전이 가동되고 있는 울진에는 3m에 달하는 해일이 몰려오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대해 윤철호 KINS 원장은 “우리 원전은 주변에 방파제도 있고 해수면보다 10m나 높은 곳에 건설돼 예상 해일 높이에 비해 3배가 넘는 방호력을 가지고 있어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지진해일의 높이는 4.4m였지만 곳에 따라 10m가 넘는 곳도 있어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또 지진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진도 3 이상의 지진 발생은 1978∼1996년 연평균 16회에서 1997∼2010년 연평균 41회로 급증했다. 또 내진 설계가 우리보다 더 잘 돼 있는 일본도 한계를 뛰어넘는 강진에는 문제가 발생해 보다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 지진 전문가는 “특히 월성 원전의 경우 5㎞ 떨어진 곳에 활성단층이 있어 지진 발생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일본 원전에서 유출된 방사성물질이 아직까지 우리나라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성물질이 강한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의 반대 방향인 태평양 쪽으로 빠져 나가고 있기 때문. 노병환 KISN 방사선안전본부장은 “후쿠시마 원자로 2·4호기가 연쇄 폭발한 오후 2시 현재 일본과 가장 가까운 울릉도의 방사선 준위는 시간당 144nSv(나노시버트)”라면서 “이 같은 수치는 원전 1호기 폭발이 있었던 지난 12일 시간당 137nSv, 3호기가 폭발한 14일 140nSv 등과 비교할 때 변동이 없는 수치”라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서울 김효섭기자 sky@seoul.co.kr
2011-03-16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