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 갈등땐 다른 양상 내전
다국적군의 리비아 공습의 핵심 변수 중 하나는 바로 벵가지를 거점으로 한 반정부 진영이다. 영국 등이 앞장서서 카다피 정권 교체를 목표로 트리폴리 등 카다피 거점 지역을 공격하고 있으나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지상군 공격이 원천적으로 배제된 상태다. 따라서 다국적군의 공격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현재 반군의 가장 큰 약점은 ‘지도력의 부재’다. 세계에서 가장 폐쇄된 국가로 낙인 찍힐 정도로 카다피 철권통치가 42년간 이어진 탓에 공고히 자리잡은 야당이나 시민사회, 국가기관이 없는 실정이다. 또 서로 비우호적인 140여개 부족 간 정치·경제적 갈등이 커질 경우 리비아 내전이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군에 비해 미약한 반군의 전투력도 한계점으로 거론된다. 카다피 정부군이 동부에서 반격을 시작했을 때도 반군의 대부분은 군사교육도 변변히 받지 못한 헤진 군복 차림의 어린 자원병들이었다. 현재 반군은 자원한 몇몇 장교들의 지원을 받고 있긴 하나 훈련된 정부군의 대규모 이탈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런 이유로 반군 핵심기구인 국가위원회의 중심 인물들에게 관심이 모아진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0일 전했다. 국가위원회는 지난달 17일 리비아 반정부 시위 격화 이후 권력의 진공상태를 메우기 위해 조직된 임시정부다.
무스타파 모하메드 압델 잘릴 국가위원장과 국가위원회 비상위원장인 마무드 지브릴, 전 인도대사 알 아지즈 알에사위 등이 눈여겨볼 얼굴들. 법무장관 출신인 잘릴 국가위원장은 지난달 시위 격화 이후 정부 각료로는 처음 사임했을 만큼 깨끗함과 투명함으로 대변된다. 지브릴과 알에사위는 국가위원회 메시지를 외부세계에 알리며 서방 외교관들과 계속 접촉하는 역할을 맡아 왔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1-03-2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