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교역 중단후 北인력 中에 대거 유입

남북교역 중단후 北인력 中에 대거 유입

입력 2011-05-11 00:00
수정 2011-05-11 1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단둥에만 北봉제공 1천여명 추정..인력난에 中업체들 선호

천안함 사태에 따른 남북교역 중단 이후 북한의 봉제공들이 대거 중국으로 유입되고 있다.

11일 단둥(丹東) 소식통들에 따르면 최근 의류공장이 밀집해 있는 압록강 하류 둥강(東港) 일대에 파견돼 일하는 북한의 봉제공이 1천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 소식통은 “예전에 400-500명에 불과했으나 남북교역 중단에 따라 한국 의류업체들의 위탁가공이 끊기면서 1년여 만에 배가량 급증했다”며 “북한 봉제공들은 외부와 전면 차단된 채 공장 내에서만 머물며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공장마다 수십 명씩 고용하고 있으며 규모가 큰 공장은 200-300명도 거느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에게는 평균 1천200-1천300 위안(20만-21만5천 원)의 월급이 책정됐으나 임금은 전액 북한 노무송출회사에 지급되고 있다. 이 가운데 북한 봉제공들에게 돌아가는 몫은 400-500 위안(6만6천-8만3천 원)에 불과하지만 북한 봉제공들 사이에 중국에 나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둥의 한 의류업체 관계자는 “중국 근로자들은 힘든 일을 기피하고 이직도 잦다”며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온 중국 의류공장들이 북한 봉제공들을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급등한 중국 인건비의 50-70% 수준에 불과한 저임금도 매력이지만 한국 업체들과 오랫동안 교역하면서 수준 높은 기술을 갖췄고 밤샘 근무까지 군소리 없이 해내 효율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최근에는 중국의 의류업체에 북한 봉제공들의 고용을 알선하는 중개업자들까지 등장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11월 연변(延邊)조선족자치주 훈춘(琿春)과 투먼(圖們) 의류업체들도 인력난 해소를 위해 1천600여 명의 북한 봉제공들을 고용하겠다며 중국 정부에 허가를 신청했다.

또 지난 1월에는 이기범 선양주재 북한총영사가 헤이룽장(黑龍江)성 무단장(牧丹江)시를 방문, 2천여 명의 여성 근로자 고용을 요청하는 등 북한과 중국이 경제협력의 새로운 모델로 북한 근로자의 중국 송출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