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 달 ‘속살’ 밝힌다

나사, 달 ‘속살’ 밝힌다

입력 2011-09-07 00:00
수정 2011-09-07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쌍둥이 위성 띄워 ‘중력지도’ 완성… 구성물질 정보 수집

1969년 7월 20일. 미국 유인 우주선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이 달에 첫발을 내딛자 인류는 마치 달을 정복한 양 들떴다. 그러나 4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달은 여전히 속살을 감춘 채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이미지 확대
미 항공우주국(나사)이 달에 관한 오래된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4억 9600만 달러(약 5324억원)를 들여 다시 한번 무인 탐사선을 쏘아 올렸다. ‘중력지도’를 그리는 것이 목표로 달 탄생의 비밀과 달 표면 내부 성분에 대한 숨겨진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사는 지난 1일 쌍둥이 위성인 ‘그레일 A’와 ‘그레일 B’를 로켓에 실어 달로 보냈다. 냉장고 크기의 두 탐사선은 약 200만 마일(약 321만 9000㎞)을 날아가 각각 오는 12월 31일과 내년 1월 1일 달 궤도에 진입,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들 탐사선은 3~4개월 간 달 위를 돌며 중력지도를 그리게 된다. 그레일 A와 그레일 B는 약 40~140마일(약 64~225㎞)의 간격을 유지하며 달 표면 34마일(약 55㎞) 위를 비행하며 전파신호를 이용해 중력을 측정, 지구로 정보를 보낼 예정이다. 임무를 마친 뒤에는 달 표면에 충돌해 사라지게 된다.

전문가들은 달의 중력지도를 그리면 달 표면 아래가 어떤 물질들로 채워졌는지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표면 밑 구성 물질에 따라 중력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 달의 보이지 않는 뒷면에 대한 지형 정보도 수집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탐사를 이끄는 마리아 주버 매사추세츠 공대(MIT) 박사는 “달의 중력 정보 수집 등을 통해 달 탄생 비밀을 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예컨대 두 개의 달이 충돌해 지금과 같은 달이 만들어졌다는 학설 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세계 첫 인공위성인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1호가 1957년 발사되며 ‘우주시대’가 열린 뒤 인류는 지금껏 달을 겨냥한 109개의 과학 임무를 수행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9-0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