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인권사각지대를 말하다] 美 외교관 접촉 中교수 여론재판

[中 인권사각지대를 말하다] 美 외교관 접촉 中교수 여론재판

입력 2011-09-15 00:00
수정 2011-09-15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미국 외교 전문이 중국에서 후폭풍을 일으키고 있다.

전문에 미 외교관이 접촉한 중국 인사 중 한 명으로 기재된 사회과학원의 위젠룽 교수를 둘러싼 논쟁으로 온라인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발단은 유명 블로거인 팡저우쯔가 지난 토요일 자신의 블로그에 위 교수를 “미 정부의 끄나풀이자 위선자”라고 비난하면서 비롯됐다. 이때까지 위키리크스의 문서 공개는 중국에서 별다른 관심을 끌지 않았다. 하지만 2005년부터 위 교수의 ‘학문적 사기’를 집요하게 폭로해 오던 팡이 이 사실을 공개적으로 비난하면서 애국주의 성향의 네티즌들이 벌떼처럼 일어나 위 교수를 맹공했다.

100만명의 팔로어를 거느린 파워블로거인 위 교수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블로그에 미 외교관과의 만남을 시인하면서도 동료 교수들에게 이런 사실을 알리고, 동석하라고 말했다면서 몰래 한 행동이 아니라고 항변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4일 위 교수의 사례가 중국에서 위키리크스로 인해 신원이 노출된 사람들이 겪는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 준다고 보도했다. 과거 중국에서 국가기밀을 유출한 사람들은 당국의 가혹한 형벌을 감수해야 했지만 지금은 네티즌들의 공격에 무차별적으로 노출돼 있다.

이번에 공개된 중국 인사들은 전 구글 이사, 티베트 승려, 인권 변호사 등 18명이다. 전·현직 미 외교관들은 “국영 연구기관의 학자, 국영 언론사 기자, 국영 기업 임원들은 우리를 만나 상호 관심사에 대해 논의하는 것에 대해 일반적으로 상사의 허락을 받는다.”고 말했다. 베이징의 주중 미 대사관 대변인은 “위키리크스의 외교 문서 공개는 특정 개인의 삶과 국가 간 계약을 위험에 빠트리게 한다.”고 비난하면서 “이를 막기 위한 모든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1-09-1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