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국 일간지 공동 조사… 유럽인 대상 국가별 고정관념 보니

6개국 일간지 공동 조사… 유럽인 대상 국가별 고정관념 보니

입력 2012-01-28 00:00
수정 2012-01-28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두목 행세하는 독일인’, ‘광신적 애국주의자 프랑스인’…. 곳간에서 인심난다고 살림살이가 힘들면 타인에 대한 태도도 팍팍해지기 마련이다. 유럽연합(EU) 붕괴론이 나돌 정도로 최악의 경제위기가 유럽 대륙을 휩쓸면서 유럽인들이 서로를 바라보는 시선도 좀 더 각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전통적 고정관념 넘어 비난·조롱 강도 높아져

유럽 6개국 대표 일간지들이 공동기획으로 ‘유럽인의 고정관념’을 조사해 26일(현지시간) 공개한 내용을 보면 유럽인들이 다른 유럽인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이 전통적인 고정관념을 넘어 비난과 조롱의 수준으로 강도가 높아졌다.

이번 조사에는 영국의 가디언, 프랑스의 르몽드, 독일의 쥐트도이체자이퉁, 이탈리아의 라 스탐파, 스페인의 엘파이스, 폴란드의 가제타 등 6개사가 참여했다.

●伊는 탈세꾼·스페인은 ‘마초’ 이미지 못버려

영국에 대해 다른 5개국 국민이 갖고 있는 대표적인 고정관념은 ‘술취한 훌리건(축구경기장 난동꾼)’, ‘속물적인 자유시장주의자’ 등이었다. 프랑스에 대해서는 ‘거드름 피우는 겁쟁이’, ‘색정광’ 등이 꼽혔다. 독일인을 대표하는 이미지는 ‘초능률’, ‘근면’, ‘일 중독자’ 등이었고, 이탈리아는 ‘탈세꾼’, ‘베를루스코니 스타일의 라틴 러버와 마마보이’ 등이 대표적인 고정관념으로 지목됐다.

스페인에 대해선 ‘마초주의’, ‘시에스타(낮잠)와 피에스타(축제)에 빠져 놀고 먹는 국민’의 이미지가 강했다. 폴란드인은 ‘술꾼’, ‘극보수 가톨릭주의자’, ‘반유대주의자’로 비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고정관념들은 상당 부분 사실과 다르다고 해당 국가의 언론들은 반론을 폈다. 엘파이스의 칼럼니스트 카르멘 모란은 가디언에 기고한 글에서 “외국인들이 갖고 있는 스페인에 대한 고정관념 중 대부분은 휴가철에 며칠 머물며 얻은 단편적인 인상”이라면서 “스페인 국민의 평균 노동시간(38.4시간)은 독일(37.7시간)보다 많다.”고 지적했다.

라 스탐파의 마시모 그라멜리니도 “이탈리아인 모두 베를루스코니는 아니다.”라면서 “국민 대다수가 성실한 납세자”라고 강조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2-01-2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