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수도권에 첫 위안부 기림비 제막(종합)

미 수도권에 첫 위안부 기림비 제막(종합)

입력 2014-05-31 00:00
수정 2014-05-31 1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내 7호…피해자 강일출 할머니 ‘눈시울’동해병기법안 주지사 서명 축하행사도 열려

미국 수도권에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기림비가 모습을 드러냈다.

3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인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카운티 정부청사 뒤 잔디공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기림비 평화가든’ 제막식이 성대하게 열렸다.

제막식 참석을 위해 미국을 찾은 군위안부 피해자 강일출(86) 할머니와 워싱턴정신대대책협의회를 중심으로 구성된 기림비 건립위원회 위원들이 테이프를 끊자 폭 약 1.5m, 높이 약 1.1m인 기림비가 가리개를 벗었다.

기림비 앞면에는 일제에 의해 한국과 중국 등 여러 나라 여성들이 강제로 성노예로 동원됐다는 내용의 동판이, 뒷면에는 연방하원 위안부 결의안 통과의 주역인 마이크 혼다 의원이 일본 정부의 배상을 요구하는 내용이 각각 표기됐다.

기림비를 중심으로 지름 약 5m 정도의 원형 공원이 조성됐고 둘레를 따라 장미가 심어졌으며, 기림비를 마주보고 양편으로는 날아가는 나비 모양의 벤치가 놓여졌다.

건립위원회는 “나비가 군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상징 생물이고 평화와 같은 보편적 이미지를 강조한다는 차원에서 소녀상 대신 나비 모양 의자를 주문,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제막식에는 현지 한인들과 페어팩스카운티 관계자들 등 약 150명이 참석했다.

제막에 앞서 지역 한인 학생들의 소고춤과 북춤 공연이 있었고, 제막 후에는 살풀이 공연과 아리랑 독창 등의 축하 행사가 이어졌다. 갈색과 검은색이 섞인 나비 20여 마리를 하늘로 날려보내는 이벤트도 진행됐다.

서쪽 나비 벤치에 앉아 행사를 지켜보던 강 할머니는 북받치는 감동에 눈시울을 적시기도 했다.

강 할머니는 기념사에서 “미국 동포들이 힘써줘서 감사하다”라며 “일본 정부는 (군위안부 문제를) 신속하게 사과해야 하고, 한국 정부가 사과와 배상을 받아내야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제막식에 앞서 페어팩스카운티 청사에서 진행된 기념식에서는 2007년 연방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 채택을 주도한 혼다 의원이 영상으로 축사를 했다.

제막식 직후 페어팩스카운티 청사로부터 약 4㎞ 떨어진 센터빌에서는 미국 버지니아주 한인들이 동해병기 법률의 주의회 통과와 주지사 서명을 축하하는 기념행사가 열렸다.

동해 병기 운동을 주도해온 한인단체 ‘미주 한인의 목소리’(VoKA)가 주최한 이날 행사에서는 피터 김 VoKA 회장이 법안 발의자인 데이브 마스덴 주 상원의원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버지니아 주내 모든 공립학교 교과서에 ‘동해’(East Sea)와 ‘일본해’(Sea of Japan)를 함께 적도록 하는 내용의 이 법률은 지난 3월 주지사의 서명을 받았고 오는 7월 1일부터 발효된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