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디 코틀러 아시아 폴리시 포인트 소장 NYT에 기고
민디 코틀러 아시아폴리시포인트(APP) 소장은 일본 정부가 위안부 관련 역사 왜곡을 하지 못하도록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2007년 미국 연방하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관련 결의안이 채택되는 데 이바지했던 코틀러 소장은 1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글에서 아베 신조 총리의 일본 정부가 진행 중인 위안부 관련 역사 왜곡 작업을 소개하면서 국제사회가 이를 중단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2차대전 때 일본군이 위안소를 운영했다는 것은 일본 총리를 지낸 야스히로 나카소네의 1979년 회고록에 나와 있다고 전했다.
1942년 당시 해군 중위였던 나카소네에 의하면, 일본 군대 내에 만연한 성폭행과 도박, 싸움을 막으려고 위안소를 운영했고 이는 모범이 돼 일본의 해군은 물론 육군으로 확산했다는 것이다.
코틀러 소장은 일본군 위안부가 된 과정은 지역에 상관없이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고 밝혀 일본군이 조직적으로 여성을 납치해 위안부로 활용했음을 시사했고, 필리핀에서 미국 간호사를 강간한 사례 등 여러 국가에서 성범죄가 저질러졌다고 주장했다.
코틀러 소장은 아베 정부가 들어선 이후 위안부 역사를 왜곡하기 위한 작업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07년 처음으로 총리가 됐을 때부터 고노 담화에 불편한 심기를 나타냈던 아베 총리는 두 번째 총리가 된 이후 고노 담화를 부인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1993년 고노 담화는 일본이 2차대전 당시 저지른 범죄에 대한 공식 사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본 자민당은 최근 나카소네 총리의 아들인 나카소네 히로후미에게 ‘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특명위원회’ 위원장을 맡겨 국제사회의 비난 여론에 대처하도록 하기도 했다.
또 2주 전에는 인권대사인 쿠니 사토가 뉴욕으로 파견됐다.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 유엔보고서를 수정하기 위해서였다.
코틀러 소장은 이런 일본 정부의 노력이 역효과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권 유린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으로부터 일본을 뒤떨어지게 하고, 전쟁범죄 처벌에서 국제사회가 책임 있는 동반자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국제사회가 나서서 일본의 역사 왜곡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엔 안보리는 아베 정부의 역사부인 노력에 대해 명확하게 반대해야 하며, 미국은 여성의 권리 보장이 미국 외교정책의 근간이라는 점을 일본에 강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