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문가들 “요미우리 사과는 고노담화 허물기 고도전술”

미 전문가들 “요미우리 사과는 고노담화 허물기 고도전술”

입력 2014-12-01 00:00
수정 2014-12-01 0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닉쉬 “위안부 동원 ‘강압 없었다’는 아베 주장 그대로 반영” 핼핀 “홀로코스트 부정과 같다” 코틀러 “낡고 편협한 사고에 갇혀”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이 지난 28일 일본군 위안부를 ‘성노예’로 표현해온 것이 부적절했다고 사과하는 사설을 게재한 데 대해 미국 전문가들이 30일(현지시간) “위안부 강제동원을 부정하려는 아베 정권의 고도 전술”이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미 의회조사국(CRS) 선임연구원 출신인 래리 닉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구원과 미 하원 전문위원을 지낸 데니스 핼핀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 연구원, 민디 코틀러 아시아 폴리시 포인트 소장은 이날 연합뉴스에 각각 이메일을 보내 이같이 밝혔다.

닉쉬 연구원은 “요미우리의 사과는 고노(河野)담화를 무너뜨리기 위해 일본내 역사 수정주의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최신 전술의 하나”라며 “위안부를 강압적으로 동원했다는 정의를 ‘집을 부수고 들어가 여성을 잡아오는 행위’로 좁히려는 것으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주장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닉쉬 연구원은 특히 “아베 총리는 최근 수차례에 걸쳐 일본군과 경찰이 집을 부수고 들어가 여자들을 잡아온 적이 없기 때문에 ‘강압’이 없었다고 주장했다”며 “그러나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위안소에 끌려가 오랜 기간 강간을 당했다는 중국과 필리핀, 네덜란드 여성들의 광범위한 증언이 존재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일본강점기 때 복역했던 한 병사는 1961년 부모들의 뜻에 반해 270명의 인도네시아 여자들을 잡아갔다고 증언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한국과 대만, 인도네시아 여성들에게 간호사와 공장근로자 등의 일자리를 제공하겠다고 속인 뒤 강제로 위안소에 끌고 간 행위는 강제납치로서 ‘강압’의 넓은 개념에 포함된다”며 “일례로 일제는 최소 700명의 인도네시아 여성들에게 일본 유학을 시켜준다고 해놓고 배에 태운 뒤 동남아지역의 위안소로 끌고 갔다”고 비판했다.

닉쉬 박사는 또 “위안소에 있었던 어떤 여성도 전쟁이 끝나기 전까지 집으로 돌아가도록 허가를 받지 못한 것은 강제 억류행위로서 역시 강압의 개념에 포함된다”며 “1993년 발표된 고노담화는 위안부 모집과 이송, 관리를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강압에 의해 이뤄졌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고 강조했다.

닉쉬 박사는 “중요한 것은 역사 수정주의자들과 비판론자들 가운데 누가 강압의 개념을 어떻게 설득력있게 규정하느냐”라며 “아베 총리와 역사수정주의자들이 이미 (강압의 개념을 좁히려는) 시도에 나선 만큼 비판론자들은 과거보다 더 현명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그는 특히 “아베 총리와 역사수정주의자들은 현재 비판론자들이 위안부 강제동원과 관련해 보다 폭넓고 설득력있는 정의를 개발하는데 실패하고 있는 점을 활용하고 있다”며 “더욱이 한국이 자국 위안부 문제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을 이용해 위안부 문제를 아시아 전체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과 한국 간의 분쟁으로만 국한시키려 한다”고 지적했다.

핼핀 연구원은 “일본의 주요 신문과 정치인들이 2차대전 당시 ‘추축국’(독일·이탈리아·일본)의 반인륜 범죄를 부인함으로써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사람들과 똑같이 되어가고 있어 슬프다”며 “유럽에서는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사람들이 인종주의자와 극단적 외국인 혐오증을 가진 ‘스킨헤드 족’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핼핀 연구원은 “독일 나치와 이탈리아 파시스트와 공모했던 일제의 범죄는 역사적으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일본의 거듭되는 역사의 부정은 일본을 위대하거나 아름다운 나라가 아니라 작은 나라처럼 보이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위대한 나라는 과거의 실수를 인정한다”며 “미국도 건국 초기 인디언들을 노예화하고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내 일본인들을 격리 수용했던 잘못을 인정했다”고 강조했다.

코틀러 소장은 “요미우리 신문의 사설은 마치 정치적 성명과 같다”며 “잘못된 신조를 전파하고 조잡한 연구를 하며 사실보도보다는 이념보도를 하고 있는데 대해 요미우리 편집인들은 사과를 하라”고 촉구했다.

코틀러 소장은 “요미우리 신문과 아베 총리, 과거사를 부정하는 일본인들은 과거 일제 때의 낡고 편협한 사고에 갇혀 있다”며 “이들은 현대 사회학과 역사기록학, 그리고 심리학을 배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상공회·한양대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에서 축사

서울시의회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 제2선거구)은 지난 10일 한양대학교 HIT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성동구상공회·한양대학교 제24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하고, 지역 경제를 이끄는 경영자들에게 진심 어린 응원과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날 수료식은 서울대 주영섭 교수(전 중소기업청장)의 특별강연으로 시작됐다. 주 교수는 ‘대전환 시대의 패러다임 혁명과 기업 경영혁신 전략’을 주제로,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시대 속에서 지역 기업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략적 통찰을 제시해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번 최고경영자과정은 성동구상공회와 한양대학교가 공동으로 운영한 프로그램으로, 지역 내 기업인들의 경영 역량 제고와 산업 간 교류를 지원하기 위해 매년 개설되고 있다. 구 의원은 축사를 통해 “쉽지 않은 경영 환경 속에서도 지역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해온 수료생 여러분의 졸업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라며 “앞으로도 지역 기업과 상공인이 상생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시의원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성동구상공회는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각종 지원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한양대학교와 함께 지역산업의 경쟁력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상공회·한양대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에서 축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