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일간 뉴욕타임스가 7일(현지시간) 한국인이 주도하는 미국 네일살롱 업계 심층기사를 한국어 등 4개 언어로 작성해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렸다.
해당 기사 보러 가기
뉴욕타임스가 한국어 버전의 기사를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한 것은 처음이다.
이 신문은 1년 동안의 심층 취재를 통해 네일살롱 업계의 문제점을 파헤친 기사의 1부를 이날 인터넷 홈페이지에 영어, 한국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4개 버전으로 올렸다. 8일에는 2부 기사를 인터넷에 올리고, 10일과 11일에는 같은 내용을 신문에 실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신문의 다국어 버전 기사 게재는 뉴욕타임스의 거점 지역인 뉴욕 인근에 한국·중국·스페인계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 영업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1부 기사는 네일살롱 업계의 노동착취에 초점이 맞춰졌다.
네일살롱은 손톱과 발톱 등을 예쁘게 관리해주는 가게로 최근 여성들로부터 인기를 얻으면서 번창하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뉴욕시에만 2천여 개가 있으며 이는 15년새 3배 증가한 것이다.
신문에 따르면 네일살롱 직원들은 하루 10∼12시간의 근무를 하며, 보수는 최저임금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네일살롱 가게의 직원이 되려면 우선 100달러의 돈을 주인에게 줘야 하며, 충분한 기술을 갖췄다고 주인이 판단하기 이전에는 월급을 받지 못한다. 최소 3개월이 지난 이후에 받는 월급도 쥐꼬리만 한 수준이다.
뉴욕타임스가 인터뷰한 150여 명의 직원 중 25%만 뉴욕주의 최저임금 기준에 상응하는 보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게 주인은 때로는 직원을 폭행까지 한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네일살롱 직원으로 취업하는 사람 중에는 불법이민자가 많아 주인의 가혹행위도 그냥 참고 넘어가야 하는 실정이다.
이 신문은 네일살롱 업계에는 ‘인종계급제도’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인이 네일살롱 업계를 장악한 관계로 직원들의 신분도 한국 출신이 가장 상위에 있다. 다음이 중국인이며, 히스패닉과 비아시아계는 최하위층을 이루고 있다.
이런 계급제도는 한국출신 직원이 다른 인종보다 2배의 임금을 받는 데서 나타난다.
또 한국 출신 직원들은 각자의 책상에 앉아 점심을 먹는 동안 비 아시아계 직원들은 부엌에 선 채 식사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네일살롱 직원들의 주거 수준도 형편없이 낮다.
2층짜리 침대가 있는 쪽방에 살거나 여러 명이 하나의 아파트를 빌려 공동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주인의 집 지하실에 십여 명의 직원이 함께 공동으로 생활하는 예도 있었다.
네일살롱 주인 중 일부는 직원들의 임금이 낮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하지만, 주인 대부분은 네일살롱 업계의 운영 방식은 다른 업계와는 다르며 이런 독자적인 방식을 유지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연합뉴스
해당 기사 보러 가기
뉴욕타임스가 한국어 버전의 기사를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한 것은 처음이다.
이 신문은 1년 동안의 심층 취재를 통해 네일살롱 업계의 문제점을 파헤친 기사의 1부를 이날 인터넷 홈페이지에 영어, 한국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4개 버전으로 올렸다. 8일에는 2부 기사를 인터넷에 올리고, 10일과 11일에는 같은 내용을 신문에 실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신문의 다국어 버전 기사 게재는 뉴욕타임스의 거점 지역인 뉴욕 인근에 한국·중국·스페인계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 영업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1부 기사는 네일살롱 업계의 노동착취에 초점이 맞춰졌다.
네일살롱은 손톱과 발톱 등을 예쁘게 관리해주는 가게로 최근 여성들로부터 인기를 얻으면서 번창하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뉴욕시에만 2천여 개가 있으며 이는 15년새 3배 증가한 것이다.
신문에 따르면 네일살롱 직원들은 하루 10∼12시간의 근무를 하며, 보수는 최저임금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네일살롱 가게의 직원이 되려면 우선 100달러의 돈을 주인에게 줘야 하며, 충분한 기술을 갖췄다고 주인이 판단하기 이전에는 월급을 받지 못한다. 최소 3개월이 지난 이후에 받는 월급도 쥐꼬리만 한 수준이다.
뉴욕타임스가 인터뷰한 150여 명의 직원 중 25%만 뉴욕주의 최저임금 기준에 상응하는 보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게 주인은 때로는 직원을 폭행까지 한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네일살롱 직원으로 취업하는 사람 중에는 불법이민자가 많아 주인의 가혹행위도 그냥 참고 넘어가야 하는 실정이다.
이 신문은 네일살롱 업계에는 ‘인종계급제도’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인이 네일살롱 업계를 장악한 관계로 직원들의 신분도 한국 출신이 가장 상위에 있다. 다음이 중국인이며, 히스패닉과 비아시아계는 최하위층을 이루고 있다.
이런 계급제도는 한국출신 직원이 다른 인종보다 2배의 임금을 받는 데서 나타난다.
또 한국 출신 직원들은 각자의 책상에 앉아 점심을 먹는 동안 비 아시아계 직원들은 부엌에 선 채 식사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네일살롱 직원들의 주거 수준도 형편없이 낮다.
2층짜리 침대가 있는 쪽방에 살거나 여러 명이 하나의 아파트를 빌려 공동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주인의 집 지하실에 십여 명의 직원이 함께 공동으로 생활하는 예도 있었다.
네일살롱 주인 중 일부는 직원들의 임금이 낮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하지만, 주인 대부분은 네일살롱 업계의 운영 방식은 다른 업계와는 다르며 이런 독자적인 방식을 유지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