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위기로 ‘잔혹한 독일인’ 이미지 되살아나”

“그리스 위기로 ‘잔혹한 독일인’ 이미지 되살아나”

입력 2015-07-17 14:09
수정 2015-07-17 14: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차 세계대전 이후 나치의 흔적을 지우려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온 독일이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을 계기로 과거 이미지를 되찾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는 나치 패배의 잔해와 냉전을 헤치고 평화주의의 수호자이자 최신 청년문화의 요람으로 우뚝 선 독일에 ‘잔혹한 독일인’의 이미지가 돌아왔다고 지적했다.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에서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를 굴복시키며 가혹한 긴축 조건을 관철시킨 과정이 나치 독일의 잔인성을 상기시켰다는 것이다.

그리스에 혹독한 조건을 요구한 나라가 한둘이 아니었지만 유독 독일에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독일이 그토록 지우고 싶었던 나치의 과거 탓이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독일의 총구에 그리스가 항복했다며 독일을 콕 집어냈다. 가디언도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절반의 승리를 거뒀다면서 “구제금융 조건이 상대방을 위해 잔인하다기보다 그저 잔인하기 위해 잔인하다”고 혹평했다.

트위터에서는 ‘보이콧독일’(Boycottgermany)이라는 해시태그(#)가 확산하며 독일 제품 불매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메르켈 총리를 영화 ‘양들의 침묵’ 속 냉혈한 한니발 렉터 박사에 빗대 ‘앙겔라 렉터’라고 부르며 유럽연합을 먹어치우는 모습으로 묘사한 그림도 퍼지고 있다.

이번 그리스 협상에서 메르켈 총리보다 한 술 더 떠 초강경 노선을 고수한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칼을 든 이슬람국가(IS) 전사로 풍자되고 있다.

그리스에서는 채권단 협상안에 찬성한 이들을 나치 협력자로 몰아붙이는 분위기마저 일고 있다.

독일 녹색당 소속 정치인 라인하르트 뷔티코퍼는 “메르켈과 쇼이블레, 지그마어 가브리엘 부총리가 이틀 만에 (독일이) 수십 년에 걸쳐 쌓아올린 신뢰를 불태워버렸다”면서 “비정하고 독재적이며 추한 독일의 모습이 얼굴을 갖고 있는데 그건 바로 쇼이블레”라고 맹비난했다.

독일 의회는 이날 그리스 구제금융 합의안을 표결한다. 통과가 예상되는 가운데 WP는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독일의 이미지에 해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서울연극제 ‘공로상’ 수상

서울시의회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제46회 서울연극제 공로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서울연극협회 주최로 열린 서울연극제는 이달 서울연극창작센터에서 폐막식을 갖고 연기·연출 및 특별공로 등 다양한 분야의 수상자들을 시상했다. 이효원 의원은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으로서 대한민국 예술인들이 기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예술인들의 복지 향상을 견인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서울시 예산 지원 등을 통해 연극계 발전을 이끌었다는 평이다. 특히 이 의원은 서울문화예술포럼 1기 운영위원에 이어 2기 운영위원으로도 참여하며 문화예술 분야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왔다. 또한 제319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서울시 문화 전반 예산 확대와 합리적 예산 편성 등을 요청하며 문화예술계의 성장을 위해 활발한 의정 활동을 펼쳤다. 이 의원은 “연극을 보며 함께 희노애락을 느끼는 관객의 표정은 곧 우리 이웃의 표정이며 삶의 표정이기도 하다”며 “먼저 연극계가 마주한 많은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서울연극협회가 시민의 위로와 기쁨이 되어주신 것에 감사를 표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어 “이번 서울연극제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됐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무엇보
thumbnail - 이효원 서울시의원, 서울연극제 ‘공로상’ 수상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