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가 여아보다 조산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애들레이드 대학 의과대학의 클레어 로버츠 박사 연구팀이 1981년에서 2011년까지 30년 사이에 태어난 57만4천 명의 출생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영국의 데일리 미러 인터넷판이 11일 보도했다.
남아는 여아에 비해 임신 20~24주 조산율이 27%, 30~33주 조산율이 24%, 34~36주 조산율이 17%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로버츠 박사는 밝혔다.
또 남아를 임신했을 경우 여아를 임신했을 때보다 임신 합병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남아 임신 여성은 임신성 당뇨와 임신중독증인 자간전증 발생률이 각각 4%, 7.5% 높았다.
이 결과는 태아의 성별이 임신결과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로버츠 박사는 설명했다.
따라서 임신 중 모체와 태아에 이러한 일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태아의 성별에 따라 맞춤형 대책이 필요할 수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로버츠 박사는 태아의 성별을 감안한 임신 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의 연구팀은 앞서 정상임신의 경우 태아의 성별에 따라 태반의 142개 유전자 발현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태반은 임신 성공에 매우 중요한 곳인 만큼 태아의 성별에 따라 임신결과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태반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로버츠 박사는 보고있다.
자간전증은 임신 후반기에 갑자기 혈압이 오르고 소변에 지나치게 많은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뇨단백이 나타나면서 손, 다리, 얼굴이 부어오르는 증상으로 대표적인 임신 합병증의 하나이다.
이로 인해 모체는 신장, 간, 뇌가 손상될 수 있고 태아는 조산, 사산 등의 위험이 커진다.
이 연구결과는 온라인 과학전문지 ‘공공과학도서관’(PLoS: Public Library of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호주 애들레이드 대학 의과대학의 클레어 로버츠 박사 연구팀이 1981년에서 2011년까지 30년 사이에 태어난 57만4천 명의 출생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영국의 데일리 미러 인터넷판이 11일 보도했다.
남아는 여아에 비해 임신 20~24주 조산율이 27%, 30~33주 조산율이 24%, 34~36주 조산율이 17%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로버츠 박사는 밝혔다.
또 남아를 임신했을 경우 여아를 임신했을 때보다 임신 합병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남아 임신 여성은 임신성 당뇨와 임신중독증인 자간전증 발생률이 각각 4%, 7.5% 높았다.
이 결과는 태아의 성별이 임신결과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로버츠 박사는 설명했다.
따라서 임신 중 모체와 태아에 이러한 일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태아의 성별에 따라 맞춤형 대책이 필요할 수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로버츠 박사는 태아의 성별을 감안한 임신 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의 연구팀은 앞서 정상임신의 경우 태아의 성별에 따라 태반의 142개 유전자 발현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태반은 임신 성공에 매우 중요한 곳인 만큼 태아의 성별에 따라 임신결과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태반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로버츠 박사는 보고있다.
자간전증은 임신 후반기에 갑자기 혈압이 오르고 소변에 지나치게 많은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뇨단백이 나타나면서 손, 다리, 얼굴이 부어오르는 증상으로 대표적인 임신 합병증의 하나이다.
이로 인해 모체는 신장, 간, 뇌가 손상될 수 있고 태아는 조산, 사산 등의 위험이 커진다.
이 연구결과는 온라인 과학전문지 ‘공공과학도서관’(PLoS: Public Library of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