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북서쪽 20㎞ 시산 국립공원에 위치
핵전쟁이 났을 경우 중국 최고 지도부가 대피하는 핵 벙커는 지하 2㎞ 동굴 속에 있으며, 100만 명에게 식수 공급이 가능하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7일 보도했다.중국 통합전투사령부 내부 모습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캡처
연합뉴스
연합뉴스
중국 통합전투사령부를 방문한 시진핑 국가주석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캡처
연합뉴스
연합뉴스
중국 베이징 북서쪽 시산 국립공원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캡처
연합뉴스
연합뉴스
중국 핵 벙커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캡처
연합뉴스
연합뉴스
더구나 크루베라 동굴 등 카르스트 동굴의 입구가 대부분 땅 위나 지표면 가까이 있는 것과 달리 이 동굴은 평균 두께가 1㎞에 달하는 두껍고 단단한 암석으로 덮여 있다. 핵 공격에 견디기 위해 최소 100m의 암석층이 있어야 하는 핵 벙커로서는 최적이라는 얘기다.
중국과학원 지질지구물리연구소의 친다쥔 연구원은 “이 암석은 지구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 중 하나인 화강암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이 동굴은 지구에서 가장 깊은 곳에 자리 잡은 동굴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벙커는 100만 명 이상의 사람에게 식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지하 대수층(帶水層) 인근에 있어 핵전쟁 시 식수 공급의 문제가 전혀 없다.
물론 핵전쟁이 일어나면 방사능 낙진으로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정교한 필터로 지하수를 정화하는 장치 등이 벙커에 설치돼 있다.
핵 과학자인 중국 남화대학의 류융 교수는 “중국은 정확히 이 목적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과 장비를 개발해 왔다”고 말했다.
작은 도시와 맞먹는 규모의 이 핵 벙커는 수십 년 전에 지어져 최근까지 시설 업그레이드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냉전 시절인 1950년대부터 중국 전역에 여러 개의 핵 벙커를 건설했다.
미국은 펜실베이니아 주 레이븐 록 산맥 지하에 대규모 벙커를 건설했으며, 콜로라도 주 샤이엔 산맥 지하에도 북미항공방어사령부 시설이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