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기막힌 우연이 또 있을까 싶다. 미국 뉴저지주의 한 교통경찰이 오토바이 운전자를 경미한 문제로 멈춰세웠는데 알고 보니 운전자가 27년 전 자신의 출산을 도운 경찰관 아저씨였다.
화제의 주인공은 뉴저지주 도로순찰대의 마이클 패터슨. 오토바이를 몰던 매튜 베일리는 어디 출신이냐고 물었고, 그는 포 플레이스란 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답했다. 그러자 베일리는 뜻밖의 얘기를 털어놓았다. 자신이 오래 전 그곳에서 출산 기미를 느끼던 흑인 여성을 도와준 일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거리 풍경이나 그 여성의 집 구조를 설명한 끝에 아기 이름이 마이클이었다는 것까지 기억해냈다.
벼락을 맞은 것 같았던 패터슨 경관은 “제가 바로 마이클 패터슨입니다. 선생님. 제 출산을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며 손을 내밀었다. 나중에 패터슨은 어머니 카렌과 함께 베일리의 집을 찾아 다시 한번 고맙다는 뜻을 전했다.
1991년 10월 5일 벌어진 일이었다. 카렌은 쇼핑을 보러 갔다가 산끼를 느꼈다. 하지만 집으로 돌아갈 수가 없어 남편이 의사에게 전화를 걸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물었다. 4년차 경관이었던 베일리가 가장 먼저 구조 호출에 응했다. 현장에 달려온 그는 집에 부부를 데려다 준 뒤 남편이 하던 전화를 건네 받아 의사가 일러주는 대로 아이를 받아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영국 BBC가 이 기사를 작성할 즈음 페이스북에는 1만 8000명 가량이 댓글을 달았고 수많은 이들이 인스타그램과 트위터에 ‘좋아요’를 클릭했다. 많은 이들이 놀라움을 표시하며 아름답고 경이로운 얘기라고 했다. 어떤 이는 우연이 아니라 하늘이 다시 만나게 한 것이라고 함께 기뻐했다.
그런데 패터슨 경관이 베일리에게 딱지를 뗐는지를 궁금해 하는 이도 적지 않았다. 뉴저지주 도로순찰대는 베일리가 몰던 오토바이의 유리창이 잘 보이지 않는 것 같아 패터슨 경관이 제지한 것일 뿐이며 딱지를 떼지 않고 유리를 바꾸라는 조언만 건넸다고 전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