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돌파감염 환자 중 중증화는 0.6%뿐
“서양과 다른 세계관, 지배구조 등에 기인”
만 55~59세(1962~1966년생) 약 354만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19 1차 예방접종을 시작한 26일 서울 동작구 예방접종센터인 사당종합체육관을 찾은 한 시민이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2021.7.26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NYT는 ‘백신에서 뒤처졌던 아시아는 어떻게 접종을 활성화했나’라는 기사에서 “방역의 모범으로 불리다 백신 도입에서 뒤처졌던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에 최근 백신 접종의 가속도가 붙으면서 반복되는 록다운과 지긋지긋한 방역규제에서 벗어나 다시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이 솟아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NYT는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가 인구 100명당 백신 접종 건수에서 미국을 넘어섰다”며 “이는 올해 봄까지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했다. 몇몇 국가에서는 1차 접종은 물론이고 접종을 완료한 인구 비율에서도 이미 미국을 넘어서며 델타 변이에 따른 위험을 크게 낮췄다.
한국에서는 코로나19에 걸린 백신 접종자 중 0.6%만 심각한 증세로 발전했고 사망자는 0.1%에 그치고 있다. 일본에서는 중증화 사례가 지난 8월부터 절반으로 감소해 현재 하루 1000명을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입원환자도 8월 말 23만여명에서 지난달 28일 기준 3만 1000명으로 감소했다.
개발도상국을 위한 백신 연구에 주력하고 있는 비영리 단체 국제백신연구소(IVI)의 제롬 김 사무총장은 “거의 이솝 우화의 ‘토끼와 거북이’ 같은 이야기”라면서 “아시아에서는 백신을 구할 수 있을 때마다 바로바로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신 의무화 반대 시위
미국 뉴욕에서 지난 25일(현지시간) 교사들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의무화를 반대하는 시위 현장
뉴욕 AP 연합뉴스
뉴욕 AP 연합뉴스
NYT는 “아시아에서도 백신 반대 운동이 일어났지만, 미국·유럽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았다”며 “이들에게 공감하고 가짜뉴스를 퍼뜨리는 정치인, 시민단체, 미디어의 영향력도 작았다”고 분석했다.
대부분의 아시아인이 정부가 옳은 일을 하고 있다고 신뢰하고 개인의 자유보다 공동체 필요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없다고 NYT는 평가했다. 한국, 싱가포르 등이 백신 접종자들에게 사적 모임 규제를 완화하는 등 우대책을 실시한 것도 접종률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됐다.
NYT는 그러나 “아시아 국가 대부분은 자체 백신 제조 역량이 없어 향후 부스터샷(추가 접종) 승인 이후 공급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