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정부·국영기업 아이폰 금지
셀럽도 기피… 1000만대 줄 듯
애플사 로고.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애플은 테크 업계 제왕이지만 세계 양대 강국(G2)의 경제 전쟁에서는 한낱 게임 조각에 불과하다”며 “중국 내 사업이 위협받고 있다는 징후가 늘면서 시장 가치가 큰 타격을 입었다”고 전했다.
최근 중국 정부는 중앙정부 공무원과 국영기업 직원들에게 외국 브랜드 스마트폰을 업무용으로 쓰지 못하게 했다. 해외 스마트폰을 통해 중국 정부의 민감한 정보가 다른 나라로 새 나갈 수 있다고 우려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 중국에서 의미 있는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외국 스마트폰은 아이폰뿐이다. 이 때문에 이번 조치는 사실상 ‘아이폰 금지령’으로 이해된다.
중국에서 공무원들에게 애플 금지령을 내린 것은 상징성이 크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가 소유 기관에서 일하는 근로자는 약 5630만명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스마트폰을 판매하는 애플로서는 중국 공무원들이 시장에서 떠나는 것이 뼈아플 수밖에 없다.
여기에 더해 앞으로는 중국에서 주목받는 공인이나 ‘셀럽’들도 아이폰 사용을 주저할 수밖에 없다. 베이징 지도부의 의중에 늘 촉각을 곤두세워야 하는 이들은 공무원이 아닐지라도 ‘아이폰을 쓰지 말라’는 무언의 명령을 따를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이번 조치로 중국 내 아이폰 연간 판매량(약 5000만대) 가운데 최대 1000만대가 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때마침 중국에서 애플의 경쟁자로 평가받는 화웨이가 미국의 전방위적 제재에도 5세대(5G)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를 내놔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중국 정부의 ‘화웨이 밀어주기’라는 해석이 나온다. 12일 아이폰15 시리즈를 공개하는 애플로서는 이래저래 부담일 수 있다. 애플 주가는 ‘아이폰 금지령’ 보도가 나온 뒤로 7%가량 하락해 시가총액이 2000억 달러(약 268조원)가량 날아갔다.
중국은 애플 아이폰의 가장 큰 제조 기지다. ‘미국이 설계하고 중국이 제조하는’ 아이폰이 역설적으로 미중 경제 전쟁에서 ‘체스판 위의 장기말’로 전락한 모양새다. WSJ는 “애플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총알을 피할 수 없다면 과연 어느 기업이 이를 피하겠느냐”며 “애플이 미중 전쟁에서 살아남지 못한다면 어느 기업도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3-09-1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