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백악관이 대(對)중국 관세율을 ‘245%’로 표기한 자료를 홈페이지에 게시했다. 중국 관영매체는 “웃기는 일”이라고 비아냥거렸다.
백악관은 15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팩트시트’ 자료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이달 2일)에 모든 국가에 10% 관세를 부과한 뒤 75개국 이상이 미국과의 새 무역 협정을 논의하기 위해 접촉해왔다”라고 밝혔다.
또 “그 결과,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 개별적으로 부과된 높은 관세는 일시 중단됐다”라고 설명했다.
백악관은 그러나 “보복 조치로 인해 중국은 이제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중국의 대미 수출품)에 최대 245%의 관세를 부과받게 됐다”라고 지적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월 중국산 수입품에 10% 보편관세를 추가한 것을 시작으로 3월 10% 관세율을 더했고, 이달 들어서는 고율의 상호관세를 또 부과했다.
이후 백악관은 지난 10일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산 수입품에 매긴 합계 관세율이 총 145%라고 밝혔는데, 닷새 뒤인 이날 홈페이지에 올린 자료에는 100%가 불어난 245%를 명시한 것이다.
다만 백악관은 이번에 공개한 관세율 수치와 관련해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
백악관이 이 같은 자료를 게시하자, 중국 신화통신 계열의 소셜미디어(SNS) 계정 뉴탄친은 “웃기는 일”이라고 비아냥거렸다.
이어 “이것은 ‘그레이트 게임’이고, 복(福)이든 재앙(禍)이든 피할 수 없는 것”이라며 “이것이 중국이 발전하는 과정에 맞닥뜨려야 할 재난이라면, 우리는 용감하게 맞서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미국의 관세 인상에 더는 맞대응하지 않겠다던 중국 정부의 발표를 상기시켰다.
앞서 중국 국무원은 11일 미국산 수입품 관세를 84%에서 125%로 높이는 조정안을 발표하면서 “앞으로 미국이 관세를 아무리 높게 인상하더라도 경제적 의미는 이제 없고, 세계 경제사에서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며 “미국이 관세로 숫자놀음을 계속한다 해도 이제 무시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미국 백악관이 15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팩트시트’ 자료에서 “중국은 보복 행동을 했고, 이제 대미 수출품에 최대 245%의 관세를 부과받게 됐다”라고 밝힌 대목. 2025.4.15 백악관 홈페이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