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대 15 압도적 표차 통과 순간 일제히 환호성한인 정치역량 키울 발판 기대감 확산…日취재진도 대거 몰려
“한인들의 한결같은 목소리가 드디어 현실에서 메아리쳤습니다.”6일(현지시간) 오후 1시께 미국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의 의회 건물내 한 대형 룸에서 초조하게 하원 전체회의 진행상황을 지켜보던 한인들은 일제히 환호성을 질렀다.
윌리엄 하월(공화) 하원의장이 티머시 휴고(공화) 의원이 발의한 ‘동해 병기’ 법안(HB 11)이 표결을 거쳐 찬성 81표, 반대 15표로 가결처리했음을 알렸기 때문이다. 회의장내 전광판에도 ‘찬성(yea) 81’이라는 숫자가 뚜렷하게 적혀있었다.
하원 전체 100석 가운데 67석으로 다수당인 공화당이 당론으로 법안을 통과시킨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져 법안 통과는 무난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찬성표가 81표나 나올 줄은 몰랐다.
린다 한 워싱턴 한인연합회장 등은 표결 직전 기자에게 “주지사가 법안 통과 이후 거부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하려면 압도적인 표차가 나야한다”고 말했다. 그 희망이 현실이 된 것이다. 전체 의석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할 경우 주지사의 거부권 행사가 사실상 무력화되는 규정을 염두엔 둔 것은 물론이다.
압도적인 표차로 법안 통과가 확인되자 하원 전체회의장내에 입장해있던 한인 단체 관계자들은 물론이고 회의장 밖의 대형 회의실에서 스크린을 통해 표결 상황을 지켜보던 200여명의 한인들은 모두 박수를 치고 서로를 끌어안으며 기뻐했다. 한마디로 축제의 한마당이었다.
이날의 ‘영웅’이 된 휴고 의원은 표결 직전 한인들이 과거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겪은 고통을 상기시키며 ‘일본해’로만 표기돼잇는 명칭이 교과서에 ‘동해’와 함께 병기돼야 하는 역사적 이유를 설명한 뒤 의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이어 주 하원내에서 유일한 한인계 의원인 마크 김(민주) 의원도 일제때 태어난 자신의 부모들이 한글과 한국이름을 쓰지 못했던 ‘불행한 시절’을 지내야했음을 의원들에게 소개했다. 그러면서 “지금 이 회의장에 모인 한인들이, 그리고 미국내 한인들이 이 의회에 도움을 호소하고 있다. 동해를 함께 써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라면서 “이번 법안은 상징적 시작”이라고 말했다.
이어 로버트 마샬, 잭슨 밀러 의원등이 지지발언에 나섰다. 밀러 의원은 한국말로 ‘감사합니다’라고 인사해 회의장 안팎의 한인들의 큰 박수를 받았다.
그러나 조니 조아노, 비비안 와츠 의원 등 일부 민주당 의원 등은 “교과서 문제는 버지니아주 의회가 다룰 사안이 아니다” 는 명분으로 반대 의견을 밝혔다.
그럼에도 일부 한인들은 ‘반대의견’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박수를 보냈다.
표결 과정이 끝난 뒤 대략 300여명의 한인들이 밀집해있는 한 회의장으로 휴고, 김 의원과 이번 법안 통과 과정에서 한인들의 조직적 활동을 주도한 ‘미주 한인의 목소리’(VoKA)의 피터 김 회장 등이 등장했다.
휴고 의원은 그야말로 ‘한인들의 친구’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했다. 한인들이 다수 거주하는 패어팩스 지역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휴고 의원은 “이 법안이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문을 꺼냈다. 다시한번 한인들은 열광했다.
휴고 의원은 지난해 여름부터 시작된 이번 법안 통과를 위한 작업에서 큰 역할을 한인 지도자들을 일일이 호명했다. 그리고 “한인 커뮤니티에 그토록 중요한 의미가 있는 법안을 발의하게 돼 그야말로 영광”이라고 강조했다.
마크 김 의원도 “너무 많은 분들이 도와줬다”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번에 한인들이 풀뿌리 운동의 힘을 보여준 것”이라고 감격해했다. 그는 “이것은 끝이 아니다”라며 “우리의 힘을 더욱 키워나가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버지니아주 의회에는 이른 아침부터 몰려든 한인들로 북적였다. 또 일본의 주요 매체들도 몰려와 한국 매체들과 치열한 취재경쟁을 벌였다.
한 일본 기자는 “이번 사안은 일본에서도 큰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미 대세가 기운 것으로 보이며, 추후 테리 매콜리프 주지사가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