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계 증진 위해 미 대선 양당 후보들에 한국 관련 설명할 것”

토머스 번(오른쪽) 코리아소사이어티 회장과 토머스 허버드(왼쪽) 이사장이 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이사장실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미국 금리 인상 영향 및 코리아소사이어티 활동 계획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토머스 번 신임 코리아소사이어티 회장은 7일(현지시간) 워싱턴 특파원 간담회에서 오는 15~16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이렇게 예측했다. 번 회장은 “외부로부터의 금융 충격에 대한 한국의 취약점은 크게 줄어들었다”며 “한국은 외환보유고가 충분하고, 은행 등 금융시스템이 안정적인 상황이 됐다”고 설명했다.
번 회장은 “한국의 경제 규모는 꽤 크지만 미국과 비교하면 개방된 작은 규모의 경제이고, 따라서 미국에서 행하는 모든 일들이 한국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제하면서도 “(한국의) 국채 시장 같은 곳이 (미국 금리 인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겠지만, 다른 신흥시장 만큼은 아닐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에서 한국 등의 국가 신용등급 평가 업무를 맡았던 번 회장은 “한국은 경제에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일각에서 중국과 함께 한국의 환율 조작 우려가 제기되는 것에 대해 번 회장은 “한국이 환율 조작 정책을 갖고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한국은 경상수지 흑자가 크지만 수출 때문이 아니라 수입 감소 때문”이라며 “국제통화기금(IMF)에서도 한국은행(BOK)이나 한국 정부에서 환율을 조작한다고 여기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미 관계 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비영리단체인 코리아소사이어티를 이끌게 된 번 회장은 “미 대선에서 공화당·민주당 최종 후보가 결정되면 그들을 상대로 한·미 관계 등을 설명하는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북한의 개방이나 국제기구 가입 문제는 전적으로 북한에 달려 있다”며 “지금으로서는 북한이 당장 개방에 나설 것 같지 않지만 북한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날 함께 간담회에 참석한 주한 미국대사 출신 토머스 허바드 코리아소사이어티 이사장은 미 일각에서 제기되는 ‘한국 피로감’ 우려에 대해 “미국에 ‘한국 피로감’이 존재한다는 징후는 감지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글·사진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