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력진압 반대했다 평생 가택연금
오는 22일 중국 개혁·개방의 선구자인 덩샤오핑(鄧小平) 탄생 110주년을 맞아 중국중앙(CC)TV를 통해 방영 중인 덩샤오핑 드라마에 자오쯔양(趙紫陽) 전 공산당 서기가 나올 예정이라고 홍콩 명보(明報)가 10일 보도했다. 자오쯔양은 1989년 톈안먼(天安門) 시위 무력진압에 반대했다가 총서기직에서 쫓겨난 뒤 죽을 때까지 가택연금을 당한 ‘비운의 지도자’로 중국에서는 공식 언급이 금기시되는 인물이다.
AFP 연합뉴스
자오쯔양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드라마에는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문혁)을 공개 비난하고 톈안먼 학생 시위에 불을 댕긴 중국 개혁의 상징 후야오방(胡耀邦) 전 공산당 총서기와 문혁을 주도한 ‘4인방’ 제거에 앞장선 화궈펑(華國鋒) 전 국가주석도 등장한다. 이들이 중국 TV 드라마에서 제대로 다뤄진 것도 처음이란 설명이다.
48부작으로 제작된 드라마는 1976년 ‘4인방’ 제거를 기점으로 덩샤오핑이 정권을 잡은 뒤 1984년 전국에 걸쳐 개혁·개방을 실시할 때까지의 일대기를 담고 있다. 1~2회에서는 “마오쩌둥이 문혁 주도를 지시했지만 거부했다. 문혁은 중국을 가난하게 만들었다”는 덩샤오핑의 대사를 통해 문혁을 비판한다.
또 훗날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아버지인 시중쉰(習仲勛) 전 국무원 부총리가 선전(深?)을 개혁·개방의 1번지로 만들자고 덩샤오핑에게 건의한 배경이 되는 1976년 중국 인민들의 대규모 홍콩 밀항 사건도 비중 있게 다룬다.
사회과학원 출신의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후야오방, 시중쉰 등 개혁·개방을 주도한 원로 정치인들을 긍정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이 정권이 개혁·개방을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 주려는 것”이라면서 “자오쯔양 등장은 역사를 회피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볼 수 있지만 재평가 기대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8-1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