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호랑이 몰이’ 문화예술계도 겨눴다

시진핑 ‘호랑이 몰이’ 문화예술계도 겨눴다

입력 2015-01-16 00:14
수정 2015-01-16 0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패 관리들 돈세탁에 예술품 애용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전방위적인 반부패 불길이 문화예술계로 번지고 있다.

부패 관리 곁에서 브로커로 활약해 온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차기 수사 대상으로 확정됐다고 관영 신화통신 계열의 참고소식(參考消息)이 15일 보도했다. 신문은 일본 아사히신문을 인용해 고서화 등 중국 골동품을 좋아하는 부패 관리들 곁에서 뇌물수수를 알선해 온 화가 등 문예인들이 조상 대상으로 확정됐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는 황금, 현금, 보석, 부동산, 자녀유학, 도박, 골프 회원권, 성상납 등은 물론 ‘돈세탁’과 직결되는 예술품도 뇌물로 애용된다.

2008년 영국 케임브리지대에 재학 중이던 보시라이의 아들 보과과를 위해 이 학교로 공연을 간 것으로 전해지는 청룽(왼쪽)의 모습. 오른쪽은 보과과.  출처 바이두
2008년 영국 케임브리지대에 재학 중이던 보시라이의 아들 보과과를 위해 이 학교로 공연을 간 것으로 전해지는 청룽(왼쪽)의 모습. 오른쪽은 보과과.
출처 바이두
이미지 확대
실제로 지난해 10월 낙마한 안후이(安徽)성 부성장 니파커(倪發科)는 광산 채굴권을 넘겨주는 대가로 1200만 위안(약 21억원) 상당의 비취 보석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부패 혐의로 사형 집행유예 판결을 받은 류즈쥔(劉志軍) 전 철도부장의 집에서는 고가 서예작품과 고서화는 물론 비취 공예품 200점이 발견됐다.

당 기율검사위가 조준한 문예계 인사들 중에는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 등 전직 지도부와 가까운 거물급 스타가 상당수라는 관측도 나온다. 반부패가 문예계로 확산된 것은 시 주석의 일인지배 체제 구축을 공고화하기 위한 권력투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는 이와 관련, 당장 유명 코미디언 자오번산(趙本山)이 곧 체포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오번산은 반시진핑 쿠데타를 모의한 것으로 전해지는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의 ‘대변인’으로 통하는 인물로 최근 들어 ‘출연정지설’, ‘조사설’ 등 연일 구설에 시달리고 있다. 중화권 언론들이 공공연히 장쩌민의 정부(情婦)라고 부르는 인민해방군 소속 여가수 쑹쭈잉(宋祖英), 쩡칭훙(曾慶紅) 전 국가부주석의 동생 쩡칭준(曾慶准) 국가문화성유한공사 주석의 이름도 거론된다. 앞서 월드스타 청룽(成龍), 영화감독 장이머우(張藝謀) 등 장쩌민 계열의 스타 군단 상당수가 시 주석 집권 이후 수난을 당한 것도 권력투쟁의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회과학원 출신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권색교역(權色交易)이나 권전교역(權錢交易), 혹은 자신의 인지도를 이용해 특정 정치인을 띄워 주는 일은 문예계 인사들 사이에선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권력투쟁이 문예계 전반에 대한 숙청으로 이어지는 것은 마오쩌둥(毛澤東) 시절 이후 전례를 찾기 어렵다”고 평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5-01-1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