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개… 日 “사실과 다르다”
① 역사 직시·반성② 中 경제 쇠퇴론 금지
③ 경제 협력 추진
④ 中 대항 의식 버려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 간의 최근 회담에서 중국이 중·일 관계 개선을 위해 내건 ‘네 가지 요구’에 일본 정부가 “사실과 다르다”며 불쾌한 반응을 보였다. 네 가지 요구는 지난달 30일 두 장관의 회담 직후 중국 외교부가 공개한 것이다. 왕 부장은 회담에서 “(일본이) 이를 고쳐야 관계가 발전한다”며 기시다 외무상을 몰아붙였다.
일본 당국자들은 2일 “(네 가지 요구는) 사실과 다르며 외교상으로 무례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오는 9월 항저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준비하는 중국이 일본을 견제, 관리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9월에 중·일 정상회담 개최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왕 부장은 첫째 역사 직시와 반성, ‘(대만은 중국에 속한다는) 하나의 중국 정책’ 고수를 내세웠다. 최근 대만과 일본 관계가 전방위적으로 밀착되고, 대만 독립을 추구하는 민진당 정권이 출범을 앞둔 가운데 아베 신조 일본 정부와 민진당의 관계 강화를 견제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아베 정부는 민진당과의 관계를 각별하게 여기고 있다.
또 “중국 위협론이나 중국 경제 쇠퇴론을 퍼뜨리지 않는다”는 요구다. 반중(反中) 전선을 강화하는 일본에 대한 견제구인 셈이다. 중국은 일본에 “경제에서 중국을 대등하게 대하고 협력을 추진한다”고 요구하면서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의존한다는 구시대적 사고를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이 반대하는 중국에 대한 시장경제 지위 부여와 연관된 것으로 이해된다.
중국은 또 “지역·국제 문제와 관련, 일본은 중국에 대항 의식을 버리고 지역의 평화, 안정, 번영의 위해 함께 힘을 다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중국의 해양 진출을 비판하는 아베 정부를 견제, 압박하면서 남·동중국해에서 중국 진출을 합리화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기시다 외상은 “사실과 다르다”며 왕 부장의 지적을 일축했다고 NHK 등은 전했다. 중·일은 서로 관계 악화를 막는 ‘관리 모드’에 들어가면서도 기싸움은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6-05-0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