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가기 싫어요.’
젊은이들의 병역 기피 현상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도 마찬가지다. 중국 인민해방군도 젊은이들의 병역 기피 풍조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병역 기피 현상, 농촌으로도 퍼져
중국군 기관지인 인민해방군보는 26일 ‘병역, 도망치고 싶다고 도망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과거에는 도시 젊은이들이 주로 병역을 거부했으나, 요즘에는 중서부 농촌 지역으로도 병역 기피 현상이 퍼지고 있다”며 “병역은 선택이 아니라 중국 젊은 남성이 모두 담당해야 할 의무”라고 강조했다.
인민해방군보가 병역 기피 문제를 다룬 이유는 지난해 말 산시(山西)성의 한 20대 청년이 병역을 기피하기 위해 단식을 벌인 것이 발단이 됐다. 이 젊은이는 병역 기피 혐의로 11만 5000위안(약 2000만원)의 벌금과 취업 제한, 출국 제한 등의 조치를 당했으나 끝내 징집에 응하지 않았다. 조사 결과 지난해 산시성에서만 21명이 병역을 기피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방군보는 “우리나라는 병력 자원이 많아 대다수 젊은이가 군대에 안 가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엄격한 규율이 요구되는 군대 대신 취업을 하려는 젊은이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징병제 거부하며 작년 단식 사건도
중국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징병제를 시행한다. 모든 남성은 만 18세가 되는 나이에 신체검사를 받아야 하고, 징집 기관은 신검 통과자들 가운데 필요에 따라 징집한다. 신검 이후 24세까지는 징집영장이 나오면 입대해야 한다. 그러나 인구가 워낙 많다 보니 자발적으로 신검에 응하는 이들만 뽑아도 적정 병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이 모병제로 착각하고 있다. 결국 지역별로 병력이 부족하거나 병과에 맞는 인원을 보충하기 위해 법대로 강제징집을 집행하다가 병역 기피라는 복병과 마주치는 셈이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젊은이들의 병역 기피 현상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도 마찬가지다. 중국 인민해방군도 젊은이들의 병역 기피 풍조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병역 기피 현상, 농촌으로도 퍼져
중국군 기관지인 인민해방군보는 26일 ‘병역, 도망치고 싶다고 도망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과거에는 도시 젊은이들이 주로 병역을 거부했으나, 요즘에는 중서부 농촌 지역으로도 병역 기피 현상이 퍼지고 있다”며 “병역은 선택이 아니라 중국 젊은 남성이 모두 담당해야 할 의무”라고 강조했다.
인민해방군보가 병역 기피 문제를 다룬 이유는 지난해 말 산시(山西)성의 한 20대 청년이 병역을 기피하기 위해 단식을 벌인 것이 발단이 됐다. 이 젊은이는 병역 기피 혐의로 11만 5000위안(약 2000만원)의 벌금과 취업 제한, 출국 제한 등의 조치를 당했으나 끝내 징집에 응하지 않았다. 조사 결과 지난해 산시성에서만 21명이 병역을 기피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방군보는 “우리나라는 병력 자원이 많아 대다수 젊은이가 군대에 안 가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엄격한 규율이 요구되는 군대 대신 취업을 하려는 젊은이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징병제 거부하며 작년 단식 사건도
중국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징병제를 시행한다. 모든 남성은 만 18세가 되는 나이에 신체검사를 받아야 하고, 징집 기관은 신검 통과자들 가운데 필요에 따라 징집한다. 신검 이후 24세까지는 징집영장이 나오면 입대해야 한다. 그러나 인구가 워낙 많다 보니 자발적으로 신검에 응하는 이들만 뽑아도 적정 병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이 모병제로 착각하고 있다. 결국 지역별로 병력이 부족하거나 병과에 맞는 인원을 보충하기 위해 법대로 강제징집을 집행하다가 병역 기피라는 복병과 마주치는 셈이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7-01-2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