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계 호주 앵커 9개월째 구금… 中의 ‘호주 길들이기’?

중국계 호주 앵커 9개월째 구금… 中의 ‘호주 길들이기’?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1-04-29 17:40
수정 2021-04-30 0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레이 교도소서 자녀와 화상 접견 차단
‘팬데믹 中 책임론’ 호주 동조… 관계 악화

지난해 불거진 중국과 호주 간 외교 갈등이 시간이 지날수록 고조되는 가운데 지난해 8월 중국 당국에 구금된 중국계 호주인 앵커 청레이가 9개월 가까이 자녀와의 화상 접견이 차단된 채 억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수감 생활을 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중국 당국이 그의 구금을 지렛대 삼아 호주를 길들이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다는 추측이 나온다.

호주 abc방송은 29일 청의 근황을 전하며 “자택 구금을 끝내고 베이징 교도소로 이감됐다. 변호사와의 접견이 차단된 상태”라고 소개했다. 한 달에 한 번씩 베이징 주재 호주대사 등과 화상 면담을 하는 것이 외부와의 유일한 소통이다. 이때 그는 얼굴 전체가 가려진 채 수갑까지 채워져 4명의 교도관에게 끌려온다.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장치가 달린 의자에 앉은 뒤 교도관이 눈가리개와 얼굴 마스크를 벗겨 주면 인터뷰가 시작된다. 청의 끝없는 요구에도 호주 멜버른에 사는 두 자녀와는 연락이 허용되지 않는다.

지난달 그의 가족은 호주 언론 인터뷰를 통해 중국 당국에 “좀더 인도적으로 대우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자 청은 호주 외교관들에게 “가족들이 이 문제를 공론화할수록 (나에게) 더 부정적인 결과만 낳을 것”이라며 언론 접촉을 막아 달라고 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1971년 중국에서 태어난 청은 어린 시절 가족과 호주로 이주해 대학에서 금융을 전공했다. TV 아나운서가 되고자 2001년 베이징으로 돌아간 뒤 미 CNBC, 중국중앙(CC)TV에서 일했다. 구금 전 영어채널인 CGTN에서 ‘글로벌 비즈니스’를 진행했다. 그의 도전기는 중국과 호주 사회에 알려져 잔잔한 감동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때 페이스북을 통해 중국 지도부의 미숙한 대응과 언론 통제 등을 질타했다가 ‘외국 정보기관과 첩보요원에게 중국의 기밀을 불법적으로 제공한 혐의’로 체포됐다.

두 나라 간 충돌이 본격화한 것은 지난 4월이다. 당시 미국에서 감염병이 빠르게 퍼지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 책임론’을 꺼내 들었는데,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국제조사가 필요하다”며 맞장구를 친 것이다. 이때부터 두 나라 관계는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한편 전날 리커창 중국 총리는 화상회의로 진행한 ‘제6차 중국·독일 정부 협상’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에게 “양국 간 협력을 통해 세계경제 회복을 촉진하자”고 제안했다. 인권 문제로 더이상 두 나라가 대립하지 말자는 속내다. 하지만 메르켈 총리는 홍콩 문제를 직접 거론하며 “조만간 인권 대화도 재개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압박했다고 폴리티코가 전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1-04-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