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줌도 안 되는 세계 0.9%가 전 세계 부의 44%를 차지하고 있어 지구촌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여전하다. 사진은 지난 2016년 1월 베이징에서 미화 100달러짜리와 중국 100위안짜리를 합성해 놓은 모습. 베이징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경제매체 CNBC방송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인 크레디트 스위스는 21일(현지시간) ‘2019 글로벌 웰스 보고서’를 통해 자산 100만 달러 이상을 보유한 전 세계 4680만명(전체의 0.9%)이 전 세계 부의 44%에 이르는 158조 3000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년간 100만 달러 이상의 자산 보유자는 110만 명이 늘어났다(올 상반기 기준). 100만 달러 이상 자산가의 나라는 미국 1860만명(지난 1년간 67만 5000명 증가)으로 가장 많았다. 중국 450만명(15만 8000명 증가), 일본 300만명(18만 7000명 증가), 호주 120만명(12만 4000명 감소) 등의 순이다. 호주의 감소는 환율 탓이 컸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100만 달러 이상의 자산가는 미국이 가장 많지만 상위 10%의 부자를 기준으로 넓힐 경우에는 중국이 미국을 처음으로 앞섰다. 상위 10% 부자 가운데 중국인은 1억명으로 가장 많았다. 미국인(9900만명)을 웃돈다. 크레디트 스위스는 “지난 1여년간의 미중 무역전쟁에도 불구하고 두 나라의 부는 늘어났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 성인의 총 자산은 7조 3000억 달러이고 한국의 성인 1명당 평균 자산은 17만 5020달러다. 한국 성인의 1인당 평균 자산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균을 훨씬 웃돌고 서유럽 국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10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한국의 성인은 74만 1000명이며, 글로벌 ‘톱 1%’에 포함되는 한국 성인은 80만 6000명이다. ‘톱 10%’에는 한국 성인 1230만 8000명이 포함됐다.
보고서는 한국의 부 지니계수는 61%, 상위 1%가 전체 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라며 한국의 평균 부는 높은 수준이고 부의 불평등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설명했다. 지니계수는 클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의미다.
한국인의 자산 가운데 비금융자산 비중은 높은 부동산 가격 등으로 63%에 이른다. 이 같은 수준은 한국의 높은 저축률 등에 비춰볼 때 놀랍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한국인의 부채는 전체 자산의 18%로 고소득 국가의 평균보다 높지만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