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완화를” 국제적 압력에도 드라기의 선택은 ‘일단 동결’
“추가적 완화조치를 위한 준비는 진행 중”이라고 말했으나 마리오 드라기의 선택은 결국 동결이었다. 시장은 이미 예상했다는 듯 큰 동요를 보이진 않았으나 실망한 기색이 역력했다.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이번 결정에 앞서 드라기 총재에게 가해진 국제적 압력은 상당했다. 당장 ECB 회의 직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취약한 경제상황과 디플레이션 위협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ECB가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성명서를 공개적으로 내놨다. 아예 “적당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돌아올 때까지 적당한 수준에서의 자산 구매가 필요하다”고까지 밝혀 노골적으로 양적완화 조치를 요구했다. OECD 수석 이코노미스트 캐서린 만은 그 근거로 경제성장률 전망을 들었다. 내년도 세계 전체의 경제성장률은 3.7%, 미국경제 성장률은 3.1%로 모두 3%대를 넘지만 유로존은 1.1%에 그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런 우려 때문인지 드라기 ECB 총재는 “유럽 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싸움에 필요하다면 추가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는 이제까지의 의례적 발언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적당한 때 추가적인 조치를 실행할 수 있도록 연구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드라기 총재는 양적완화 조치도 취할 수 있다고 여러 번 공언했으나 유럽 최대 경제대국 독일의 반대를 넘지 못했다. 지금 돈을 풀어버리면 유럽 각국의 경제 체질 개선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부터 지난 10월까지 대규모 양적완화 조치를 지속적으로 시행해온 미국과는 대조적인 행보다. 이 때문에 독일이 유럽 경제 위기를 부추긴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4-11-0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