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앞에 선 다섯명의 기괴한 이야기

죽음앞에 선 다섯명의 기괴한 이야기

입력 2010-06-21 00:00
수정 2010-06-2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중·일 ‘인인인’ 연극시리즈 중 ‘인어도시’

“우리는 인생을 두 번 사니까. 처음에는 실제로, 그 다음에는 회고담으로. 처음에는 어설프게, 그 다음에는 논리적으로. 우리가 아는 누군가의 삶이란 모두 이 두 번째 회고담이다. 삶이란 우리가 살았던 게 아니라 기억하는 것이며, 그 기억이란 다시 잘 설명하기 위한 기억이다.” (김연수 장편소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가운데)

이미지 확대
두산아트센터가 기획한 한·중·일 연극시리즈 ‘인인인(人人人)’의 마지막 편으로, 다음달 11일까지 무대에 오르는 ‘인어도시’. 연못가 인근 호스피스 병동에서 죽을 날만 꼽고 있는 환자 다섯 명이 기괴한 경험들을 통해 ‘논리적인 회고담’에서 ‘어설픈 실제’로 거슬러 가는 과정을 다룬다. ‘논리적 회고담’의 세계는 선악이나 호오 따위야 손쉽게 가를 수 있지만, ‘어설픈 실제’의 세계에서는 이게 딱 떨어지질 않는다. ‘기억의 정치학’이니 하는 거창한 말들이 생기는 이유다.

극 막바지에 먼저 세상을 뜬 시인 이씨가 아직도 미련을 못 버린 이들에게 “선과 악, 좋고 싫은 것, 잘하고 못한 거, 그런 것들 다 무시하고, 그대로를, 온전한 나를 인정해. 헛된 바람 다 버리고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여.”라는 헛웃음을 보내는 이유다. 하기사, 이유 없이 태어난 주제에, 죽을 때 가서야 꼭 논리적 이유를 찾아야 한다는 심보 자체가 고약할는지 모른다. 마지막에 등장인물들이 자기가 죽어야 할 이유를 국민교육헌장 읊듯 읊어대는 것은 논리적 수긍이라기보다 결심 선 자들의 자기최면이다.

극은 기묘한 환상극이다. 휴대전화도 잘 안 터지는 외딴 곳에 수용된 5명의 병자가 연못에 산다는 아귀, 그러니까 배고파 죽은 귀신이 자기들을 잡아먹을지 모른다는 공포에 휩쓸리면서 연극은 시작된다. 추적추적 비는 내리고 못은 넘칠지도 모르는데 무대 왼쪽 화면으로는 기괴한 영상이 나타나고 미쳐가는 사람이 나오기 시작한다. 끝에 가서 무대 자체가 한 척의 배로 변하기도 한다. 20여명의 호스피스들과 대면 인터뷰를 통해 튼실한 기초자료를 모아서인지 극본 자체도 촘촘하니 완성도가 높아 뵌다.

그럼에도 극의 파괴력이 생각만큼 크진 않다. 처음부터 아귀의 공포를 던져 놓고 시작했기 때문에 중간에는 각자가 이야기 보따리를 풀면서 인물들의 감정선이 출렁이기 시작해야 하는데, 이게 인어의 기나긴 대사 ‘한 방’으로 처리된다. 때문에 이런저런 연극적 설정이 때론 작위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고선웅 연출의 트레이드 마크가 속사포처럼 쏟아지는 대사라지만, 최소한 톤이나 완급조절이라도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6-2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