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18일 밤 ‘명의’
설날 아침 떡국을 먹던 박순길 할머니는 떡과 고기가 목에 걸려 호흡을 못 하다 심장이 멎었다. 심정지가 일어난 후 보호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했고 병원으로 이송된 환자는 전문적인 심폐소생술 처치를 받았다. 할머니의 심장이 회복할 수 있었던 건 심정지 후 시행됐던 심폐소생술 덕분이었다. 심정지 후 10분이 지나면 뇌사에 이르게 되는데 심폐소생술이 시간을 벌어준 셈이다.
EBS 제공
‘명의: 두 손으로 이뤄낸 기적 편’의 주인공 송근정(오른쪽) 교수는 분초를 다투는 심정지 환자에 대비해 늘 초시계를 목에 걸고 운동화를 신고 다닌다.
EBS 제공
EBS 제공
심장 이상으로 심장박동이 멈추게 되면 피의 흐름도 정지되며 산소 공급이 중단된다. 산소 공급이 중단된 뇌는 4분이 지나면 손상이 시작되고, 8분부터는 회복할 수 없다. 10분이 되면 뇌사 상태가 된다. 인공호흡과 가슴 압박 자동 제세동기를 이용한 처치가 병원에 가기 전에 해야 하는 일반인의 심폐소생술(BLS)이다. 병원에서 받는 심폐소생술은 기관 내 삽관, 약물 투여, 인공 순환 호흡기 사용 등 전문 의료인이 행할 수 있는 과정(ACLS)이다.
119 신고와 신속한 심폐소생술, 제세동, 전문 심장소생술까지 4가지 고리가 사슬처럼 잘 이어진 ‘생존 사슬’이 있어야만 환자의 심장은 다시 뛸 수 있다. 의료진에 의한 심장소생술이 아무리 뛰어나도 이전의 3개 고리 중 하나라도 시행되지 않으면 온전한 소생을 기대할 수 없다. 심정지 환자가 병원까지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평균 20분인데, 아무 처치가 없을 경우 10분이면 뇌사하기 때문이다.
의료 선진국에선 국민 다수가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고, 20∼50%가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받는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돌연사 환자의 50% 이상이 가족 또는 동료에 의해 목격되지만 심폐소생술 시도율은 1∼2%에 불과하다(2007년 대한심폐소생협회 조사). 그래서 국내 돌연사 환자의 생존율은 2∼5%. 의료 선진국(7∼15%)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02-1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