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앞에 나설 때 모자 안쓰면 어색하고 불편”

“사람들 앞에 나설 때 모자 안쓰면 어색하고 불편”

입력 2011-02-21 00:00
수정 2011-02-21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달 내한공연 ‘일렉기타의 명인’ 슬래시 이메일 인터뷰

길게 늘어뜨린 검정 곱슬머리 위에 살포시 얹은 톱햇(일명 마술사 모자), 신들린 듯 기타를 연주하며 뿜어내는 담배 연기는 1980년대 후반 그룹 건스앤드로지스 시절부터 슬래시(46)의 트레이드 마크다. 1999년 마이클 잭슨 내한공연에 기타리스트로 참여한 이후 새달 20일 서울 광장동 악스코리아에서 단독공연을 갖는 슬래시를 이메일로 만났다.

이미지 확대
슬래시
슬래시
슬래시는 “지난해 월드투어를 시작하면서 줄곧 한국 공연을 고대해 왔다.”면서 “굉장한 시간이 될 거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흥분을 숨기지 않았다. 미국 시간주간지 타임이 지미 헨드릭스에 이어 세계 최고 일렉트릭 기타리스트로 꼽은 것에 대해서는 “내가 그 자리에 오를 만한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 마냥 좋아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1999년 당시 한국팬에 대한 인상은 어땠나.

-일단 잭슨과 함께하는 시간은 언제나 즐거웠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순수한 사람이다. 한국 팬들이 잭슨을 정말 좋아하는 게 피부로 느껴질 정도로 환상적이었다.

→이번에는 당신이 주인공인데.

-사실 지난 투어 때부터 한국에서 공연하고 싶었는데 드디어 하게 돼 기쁘다. 즐거운 로큰롤 공연을 기대해 달라.

→가장 크게 영향받은 뮤지션은.

-어릴 때부터 로큰롤에 죽고 못 사는 로큰롤 키드였다. 뮤지션을 꼽자면 너무 많은데 헨드릭스, 클랩턴, 백, 에어로스미스, AC/DC, 레드제플린, 비비 킹, 앨버트 킹 그리고 얼마 전 타계한 게리 무어까지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트레이드 마크인 헤어스타일과 톱햇을 고집하는 이유는.

-모자를 쓴 건 까마득한 1980년대부터인데 대중 앞에 나설 때나 연주할 때 왠지 편한 느낌이 들어 쓰기 시작했다. 당시 아무 생각 없이 했던 작은 습관이 이렇게 오래갈 줄 몰랐다. 이젠 사람들 앞에 나설 때 모자 없이는 너무 불편하고 어색한 느낌이 든다(웃음).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02-2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