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메이트 만나는 시기 알려주는 기계 있다면…
운명의 상대가 나타났을 때를 정확히 알려주는 기계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자신의 반쪽을 찾기 위해 불확실한 가능성에 돈과 시간을 투자하며 허무함에 빠져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떠올려봄직한 생각이다. ‘타이머’는 이 같은 상상을 현실로 옮긴 일종의 판타지 로맨스 영화다.하지만, 전 세계인의 연애사를 뒤흔들 획기적인 발명품처럼 보이는 이 기계가 실생활에 적용됐을 때 꼭 장밋빛 미래만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전혀 예상치 않은 상황에 타이머가 울려 당황하거나 10년이 넘도록 타이머가 작동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아 낙담하는 이도 적지 않다. 영화는 타이머를 둘러싼 소동을 통해 사랑에 대한 확신 없이 불안에 시달리는 현대인의 심리를 꼬집는다.
서른 살 생일을 앞두고 애타게 사랑을 기다리는 치과교정의 우나(왼쪽·엠마 콜필드). 좀처럼 켜질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 타이머를 바라보는 데 지친 그녀는 연하남 마이키(오른쪽·존 패트릭 아메도리)가 호감을 보이자 마음이 흔들린다. 하지만 타이머는 타이커가 4개월 뒤 상대를 만나게 된다고 가리킨다. 우나는 ‘예비 품절남’과의 사랑이 불안하기만 하다. 한편 동갑내기 의붓 자매인 스테프의 타이머는 소울메이트를 만날 때까지 무려 13년이 남았다고 가리킨다. 부담 없는 일회성 만남으로 외로움을 달래는 그녀에게 제대로 된 로맨스는 기억조차 없다. 하지만 우연히 만난 댄에게 점점 끌리는 자신을 발견한다.
기발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이 작품은 잭 쉐퍼 감독이 서른 살의 고비를 넘기며 만든 영화답게 ‘타이머’라는 매개체를 통해 운명적 사랑에 대한 고민을 현실적으로 담았다. 영화는 불확실한 세상 속에서 완벽한 상대를 찾아 헤매는 주인공들을 통해 관객들에게 사랑의 확신은 과연 어디서 비롯돼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던진다.
이러한 문제 의식과 독특한 소재는 상당히 신선하고 흥미롭게 다가온다. 하지만 이를 받쳐주는 탄탄한 구성과 마지막까지 긴장감있게 이야기를 몰고가는 영화의 힘이 약화된 것은 아쉬운 점이다. 서둘러 매듭을 풀려는 결말에 다소 허무함을 느낄 수도 있다. 지난해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상영돼 프로그래머와 관객들 사이에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15세 이상 관람가. 10일 개봉.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1-03-0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