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드라망생명공동체가 창립과 함께 시작해 진행해 온 불교귀농학교의 제31기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미지 확대
지난 4월 인드라망생명공동체가 실시한 불교귀농학교 현장실습에서 참가자들이 비료 만드는 법을 배우고 있다. 인드라망생명공동체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4월 인드라망생명공동체가 실시한 불교귀농학교 현장실습에서 참가자들이 비료 만드는 법을 배우고 있다. 인드라망생명공동체 제공
인드라망생명공동체는 1998년에 창립한 이후 귀농운동, 마을공동체운동, 대안교육운동, 환경운동, 생협운동을 펼쳐 온 단체다. 불교귀농학교는 ‘더불어 사는 삶, 조화로운 사회, 생명을 살리는 농사’라는 주제아래 귀농을 준비하고 마을 공동체를 꿈꾸는 이들을 대상으로 이 단체가 꾸준히 마련해 온 대표적 교양 입문 강좌로 주목받아 왔다. 농사 주기에 맞춰 매년 봄(3∼5월), 가을(8∼10월) 두번 개강하며 마을 공동체 운동을 비롯해 ‘삶의 방식을 바꿔 대안문명을 형성한다.’는 인드라망의 세계관을 주로 교육하고 있다. 제31기 불교귀농학교는 다음 달 23일부터 10월 23일까지 매주 화·목요일 오후 7시 30분 서울 신정동의 인드라망 교육도량에서 있을 예정이다. 프로그램은 이론 강의(공동체, 텃밭, 경제, 교육 등)와 현장실습(9월 14∼16일)으로 꾸며진다. 이 가운데 현장실습은 실상사 인근 지역 공동체 탐방과 현장 강좌, 귀농 선배와의 만남 등으로 진행해 귀농과 마을 공동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돕는다.
참가자들은 특히 모둠활동(모둠토론, 텃밭활동)을 통해 귀농에 필요한 실습교육까지 받게 된다. 접수는 인드라망 홈페이지(www.indramang.org) 참조. (02)576-1886.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7-2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