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 먹고 여색 즐기며 늘 당당했던 경허 스님도 말년엔 반성하느라 은둔했다”

“고기 먹고 여색 즐기며 늘 당당했던 경허 스님도 말년엔 반성하느라 은둔했다”

입력 2012-08-29 00:00
수정 2012-08-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윤창화 민족사 대표 논문

‘경허 선사가 말년에 은둔한 건 자신의 잘못된 습관을 부끄러워하고 후회한 탓이다.’ 한국 선불교의 중흥조로 통하는 경허(1849~1912) 선사가 자신의 무애행(無碍行·얽매임 없는 행동)을 변명하고 후회했다는 평가가 나와 화제다. 화제의 논문은 윤창화 민족사 대표가 ‘불교평론’ 가을호(통권 제52호)에 소개한 ‘경허의 주색(酒色)과 삼수갑산’. 이는 그동안 불교계에서 논란이 돼 왔던 경허 스님의 무애행에 대해 새롭게 접근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경허 선사
경허 선사
경허 선사는 구한말 선지식으로 선풍을 드날렸던 스님. 수행과 법력에선 당대 그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았지만 술과 고기를 먹는가 하면 여색을 서슴지 않은 기행으로도 유명하다. 윤 대표는 ‘화엄사 강백 진응 스님과의 대화’를 예로 들어 경허 스님이 자신의 이런 습관을 변명했다고 밝히고 있다. “낮이면 술, 밤이면 여자를 부르라 하는데 어찌 (경허)화상은 그만 한 것도 제어 못하니 후생의 사범이 되기를 기약하겠습니까.”(진응 스님)/“습기(습관) 때문에 주색을 끊지 못하고 있지만 성품은 공(空)이므로 거기에 걸리지는 않는다.”(경허)

윤 대표에 따르면 경허 스님은 이 같은 변명에도 불구하고 결국 ‘취은화상행장’의 말미에 자신의 무애행을 후회하고 있다. “나는 쓸모없는 존재로서 세상에 쓸 데가 없고 부처님 교화에도 폐단을 끼쳐 백 가지 잘못을 함께 일으켜서 도덕으로는 구제할 수 없는데 문장으로 또 어떻게 구제할 수 있으리오. 그래서 비분강개하여 문묵을 놓아버린 지 수년이 되었다.” 윤 대표는 결국 경허 스님이 말년에 산수갑산에 은둔한 것을 놓고 “음주식육과 여색 등으로 비도덕적·비계율적 행위를 일삼은 것이 대중들로부터 ‘악마’ ‘마종’(魔種)이라는 원색적 비판과 비난을 샀고 그 따가운 시선으로부터 벗어나려 했다.”고 주장했다.

윤 대표는 이와 관련해 “경허 선사가 전통선을 다시 살린 공이 높지만 막행막식으로 계율의식을 무너뜨리고 후대 수행자들이 주색을 답습하게 한 건 일대 과오”라며 “현대의 수행자들이 그의 삶을 반면교사로 삼아 지계정신을 높여야 한다.”고 매듭지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8-2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