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은 비엔날레의 달

9월은 비엔날레의 달

입력 2012-09-08 00:00
수정 2012-09-08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주 이어 서울·대전 등서 열려

9월은 비엔날레의 달이다. 광주비엔날레 개막에 이어 전국 각지에서 비엔날레가 잇달아 열린다.
이미지 확대
대구사진비엔날레에 출품되는 작가 아서 오우의 ‘무제’.
대구사진비엔날레에 출품되는 작가 아서 오우의 ‘무제’.


먼저 오는 11일부터 서울시립미술관 등에서는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가 ‘너에게 주문을 건다’를 주제로 열린다. 주제는 1956년 스크리밍 제이 호킨스의 노래 ‘아이 풋 어 스펠 온 유’(I put a spell on you)에서 따왔다. 스마트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같은 정보기술(IT)이 어떻게 예술에 접목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제니 홀저, 홍승혜 등 17개국 50개 팀이 참가한다. 11월 4일까지.

이어 대전은 19일부터 ‘프로젝트 대전’을 대전시립미술관, 한밭수목원 등에서 연다. 올해 처음 시작되는 미술 행사로 과학도시 대전의 위상을 살려 미술과 과학 간의 만남, 동양과 서양과의 만남을 추구하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그래서 주제도 ‘에네르기’(Ener氣)로 정했다. 로랑 그라소, 마르코스 노박, 모토히코 오다니, 장지아, 양아치 등 13개국 작가 64팀이 참여한다. 11월 18일까지.

20일부터는 ‘대구사진비엔날레’가 대구문화예술회관, 봉산문화회관 등에서 열린다. 주제는 ‘포토그래픽! 사진다움!’이다. 이 주제는 요즘 사진 작품들이 단순히 대상을 찍어둔 평면 작품의 개념에서 벗어나 오리고 붙여 조각이나 설치 작품 같은 느낌을 주는 것으로까지 발전한 데 따라 설정된 것이다. 대니얼 고든, 아서 오우 등 29명의 작가가 참여한다. 10월 28일까지.

22일부터 부산시립미술관, 부산문화회관 등에서 막을 여는 부산비엔날레는 올해 주제로 ‘배움의 정원’을 택했다. 김용익, 김주현, 다다스 다카미네, 리드빈 판 더 펜, 구톰 구톰스가르드 등이 참여한다. 11월 24일까지.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2012-09-0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