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11일부터 ‘내 사랑 내 곁에’
어색한 검은색 선글라스와 한껏 멋을 낸 의상, ‘그로테스크’한 표정은 도무지 궁합이 맞지 않았다. 그나마 파란색 하늘과 잇닿은 해변가 풍광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1992년 발매된 ‘이오공감’의 표지에서 가수 이승환과 나란히 선 작곡가 오태호(44)는 어색함 그 자체였지만, 음반은 히트쳤다.
작곡가 오태호
음반에 실린 ‘한 사람을 위한 마음’을 필두로 ‘눈물로 시를 써도’, ‘세상에 뿌려진 사랑만큼’, ‘화려하지 않은 고백’(이상 이승환). ‘사랑과 우정 사이’(피노키오), ‘기억날 그날이 와도’(홍성민), ‘내 사랑 내 곁에’(김현식), ‘아이 미스 유’(서지원) 등 주옥같은 노래를 줄줄이 쏟아내며 1990년대 젊은이들의 가슴을 흠뻑 적셨다.
그의 히트곡 24개가 뮤지컬에서 부활한다. 새달 11일부터 서울 서초동 한전아트센터에서 막을 올리는 주크박스 뮤지컬 ‘내 사랑 내 곁에’이다. 최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제작발표회장에서 만난 오태호는 소년같이 미소를 띠며 말을 꺼냈다. “가수 이문세의 ‘소녀’를 듣고 락발라드 기타리스트에서 발라드 작곡가로 변신했다.”는 그는 “요즘 주류 음악은 다양성이 무시되고 편중돼 1990년대의 순수함과 공감을 상실한 것 같다.”고 말했다. 공동 연출자인 영화 ‘삼거리 극장’, ‘러브픽션’의 전계수 감독은 “내 20대를 장식한 오태호의 원곡들을 되도록 건드리지 않으려고 노력했다.”고 덧붙였다.
작곡가 오태호에 대한 재조명은 지난해 작곡가 이영훈의 곡으로 채운 뮤지컬 ‘광화문연가’의 흥행과 관련이 깊다. 이후 주크박스 뮤지컬이 만만찮은 세를 과시하고 있다. 올해 초 복고풍 뮤지컬 ‘롤리폴리’에 이어 1980년대 음악을 다룬 ‘락 오브 에이지’가 연이어 관객을 만났다. 새달 18일에 개막하는 뮤지컬 ‘밥 짓는 시인 퍼주는 사랑’에선 가수 김현식의 노래가 흘러나온다. 또 내년 4월에는 가수 김광석의 주옥 같은 명곡들로만 채워지는 뮤지컬 ‘그날들’이 막을 올릴 예정이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11-2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