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기획 ‘학교의 고백’ 7부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되찾아주기 위해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과 야구해설위원인 양준혁이 학교로 되돌아갔다. EBS는 26일 밤 9시 50분 다큐프라임 특별대기획 10부작 ‘학교의 고백’ 제7부인 ‘용택·준혁, 학교에 가다’에서 우리 교육의 희망을 생각해본다.
EBS 제공
김용택(왼쪽) 시인과 양준혁 야구해설위원. 두 남자는 학교를 다시 세워야 하는 이유를 찾기 위해 전국 방방곡곡을 돌았다.
EBS 제공
EBS 제공
학생과 교사가 모두 행복한 현장이란 어떤 곳일까. 말썽꾸러기 아이들과 매일 산에 오르는 종암중학교 ‘조폭 선생님’, 선생님을 엄마·아빠라고 부르는 부산 알로이시오 초등학교 아이들, 학교 폭력의 아픔을 딛고 새로운 꿈을 꾸는 인천 해밀학교 아이들 등에게서 그 물음에 대한 대답을 찾아본다.
프로그램은 ‘당신에게 학교란 무엇입니까?’란 질문으로 시작한다. 학교의 희망을 찾기 위한 일종의 화두(話頭)인 셈이다. 서울 광화문에 교실이 세워지고 이어 급훈과 한반도 지도가 내걸린, 분필 먼지 풀풀나는 교실의 모습이 갖춰진다. 세월 저편의 교실을 다시 불러낸 것이다. 양은 도시락과 옛 국정교과서가 공존하던 공간이다. 그곳에 구경 삼아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기웃대다가 걸상에 앉아보는 사람들. 풍금의 흰 건반을 눌러보며 데리고 온 아이를 책상에 앉혀보는 부모들에게 물었다. “어떤 것이 기억나나요?” “다시 만나고 싶은 분이 있나요?”
사람들 기억 속에 남아 있는 학교의 모습은 의외로 아름다웠다. 살냄새와 추억이 맛깔나게 버무려진 곳이다. 30여년간 아이들을 가르친 초등학교 교사이자 시인인 김용택과 야구의 전설인 양준혁은 이후 전국 각지의 학교로 함께 내려갔다.
길 위에서 시인은 섬진강변 덕치분교 2학년 담임교사 김용택이 되고, 양준혁은 오로지 야구밖에 모르고 야구 말고는 아무것도 없던 10대의 양준혁이 된다. 그 누구보다 자기 방식으로 치열한 삶을 살았던 두 남자가 들려주는 학교 이야기, 사람 이야기, 일 이야기는 무엇을 어떻게 배우는가에 따라 인생의 길이 달라진다는 것을 말해주는 최고의 수업이었다. 두 사람이 찾아간 서울 종암중학교, 인천 해밀학교, 부산 알로이시오초등학교, 서울 광신고등학교…. 그곳에는 질풍노도의 시간을 함께 넘어주는 나이 든 선생님과 아이들을 보듬어주는 따뜻한 마음이 있었다. 좋은 수업을 통해 배움의 즐거움을 일깨워주는 교사와, 학교를 떠나온 아이들의 얼룩진 속내를 읽어주는 통 큰 사랑이다.
다큐멘터리는 결국 ‘세상을 건강하게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학교를 다시 세우는 것’이라고 고백한다. 학교를 다시 세워야 하는 이유를 이 프로그램에서 살펴볼 수 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11-2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