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왕이 신하에게 베푼 축하 잔치를 묘사한 ‘칠태부인경수연도’(七太夫人慶壽宴圖) 등 4건이 보물로 지정됐다고 문화재청이 13일 밝혔다.
‘칠태부인경수연도’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칠태부인경수연도’
부산박물관이 소장한 칠태부인경수연도(보물 1807호)는 1691년 8월 열린 경수연의 그림을, 1745년 이전의 특정한 시점에 새롭게 해석해 그린 것이다. 당시 경수연은 70세 이상 모친을 모신 신하 7명에게 왕이 베푼 잔치다. 그림에는 강세황이 33세 때 쓴 글이 포함됐다. 문화재청은 “회화적으로 우수한 행사 기록화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개인이 소장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4-7(보물 961-2호)은 조선 태종 5년(1405)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에서 성달생(1376~1444)·성개(?~1440) 형제가 필사한 것을 목판에 새겨 찍어낸 전 7권 중의 1책이다. 이 밖에 서울 성룡사에 보관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보물 1222-2호)는 보조국사 지눌(1158~1210)이 당나라 종밀(780~841)의 법집별행록에서 중요한 것을 간추린 절요에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펴낸 불교 저술이다. 또 동아대박물관이 소장한 ‘황리현명 청동금고’(黃利縣銘 靑銅金鼓·보물 1808호)는 고려 선종 2년(1085) 지금의 경기 여주인 황리현 호장인 민씨 등이 제작한 청동북이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1-1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