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 ‘문화의 안과 밖… ’ 강연
‘보편적 인문주의의 거장’으로 불리는 석학 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는 “현재의 우리 사회가 역사상 어느 시기보다도 큰 외면적 번영을 누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 개인이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공동체의 붕괴로 인해 ‘정신적 폐허’ 속에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인문학계 원로이자 보편적 인문주의의 거장으로 불리는 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가 18일 안국빌딩에서 열린 ‘문화의 안과 밖’ 첫 강연에서 유기적 공동체의 부활을 통해 정신의 힘을 길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문화의 안과 밖 운영위원회 제공
문화의 안과 밖 운영위원회 제공
우리 지성계 대표적 학자들의 학문적 성찰을 기반으로 대중과 함께 우리에게 필요한 삶의 지표를 탐구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된 강연 프로젝트의 첫 번째 강연자로 나선 김 교수는 전후 독일의 참상과 함께 재건에 필요한 정신적 조건을 그린 현대 독일의 대표시인 한스 카로사의 시 ‘해 지는 땅의 비가(悲歌)’를 인용하며 “지금 우리 사회가 직면한 위기 상황은 정신적 파괴로 인한 것이라는 점에서 2차대전 후 독일이 처한 시련과 비교해 그 심각성이 결코 가볍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문화나 문명은 전쟁의 파괴나 전체주의의 싹쓸이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그것을 지탱하는 정신의 실종으로 인한 내면 폭발로 무너질 수도 있으며 보다 긴 안목에서 보면 물질적 파괴의 원인이 되는 전쟁이나 전체주의 역시 정신적 파괴에서 시작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사회는 개인의 기억이나 역사쯤은 완전히 말소해도 상관없는 것으로 취급하고 있지만 기억을 통하지 않고는 현재를 알 수 없다”며 “급격한 산업화를 거치며 옛 삶의 자취가 파괴되고 모든 것이 부정되는 곳에서 사람들이 길을 잃고 헤매는 것은 당연하다”고 일갈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인식론적 반성이라고 강조한 김 교수는 “우리 사회의 불행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거대대중화’가 진행된 산업사회에 걸맞은 새로운 공동체 가치의 모색과 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가 생각한 새로운 공동체의 가치는 선(善)이다. 김 교수는 “낯선 사람이라도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본능적으로 도와주는 마음과 자세가 본능적 윤리의식이며 이런 기준이 사회 저변에서 아무런 문제 없이 작동할 수 있는 사회, 착해도 손해 보지 않는 사회가 우리가 추구해야 할 좋은 사회”라고 강연을 끝맺었다.
내년 1월 10일까지 매주 토요일 50여 차례에 걸쳐 진행되는 ‘문화의 안과 밖’ 강연은 김 교수 외에 유종호(대한민국예술원 회장) 전 연세대 석좌교수,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 오세정(서울대 교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초과학연구원장, 이승환 고려대 교수, 김상환 서울대 교수, 문광훈 충북대 교수 등이 운영위원으로 참여해 기획했다. ‘공적 영역의 위기’ ‘공적 영역의 구성’ ‘문화예술과 현실’ ‘자연, 물질, 인간’ ‘시대와 새로운 과학’ ‘역사와 전통’ 등 8개 섹션으로 나눠 우리 시대가 처한 학문·문화·예술·과학·환경·여론의 문제를 짚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강연은 무료다. 신청자 순으로 50명만 강연장에 입장할 수 있다. (02)739-9360.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01-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