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또 보는 듯한 연구 보고서
북한의 무역 거점인 나진·선봉 지구 바로 위에 자리한 러시아 연해주 하산주의 크라스키노. 1200여년 전 일본 열도에까지 세력이 미쳤던 발해의 무역항 염주성이 자리했던 곳이다. 학자들은 이곳을 발해 62개주 가운데 하나인 염주의 중심 도시로 꼽는다. 발해가 신라, 일본과 교류했던 거점이라는 설명이다.동북아역사재단은 최근 러시아사회과학원과 공동으로 진행 중인 발굴 결과를 인용, 이곳에 ‘계획도시’가 있었다는 흥미로운 주장을 내놨다.
재단에 따르면 이곳에선 남북국시대 발해에서 수도뿐 아니라 지방성까지 계획도시를 구축했음을 입증하는 구체적인 유적이 발견됐다. 각각 남북 16m, 동서 29m 길이에 불과하지만 도로 표면 위에 돌과 자갈이 깔렸던 흔적이 나왔다고 했다. 주위에선 잘게 깨뜨린 토기와 기와 조각도 발굴됐다는 것이다.
재단 측은 “발해의 상경도성 외에 그동안 도로망이 깔린 지방 도시를 찾아볼 수 없었다”면서 “이번 발견으로 발해가 지방에서도 계획도시를 조성했음을 알게 됐다”고 강조했다.
재단은 이번 발굴에서 특이한 모양의 14㎝ 높이 ‘토제 탑 모형’을 비롯해 철제 삽과 자귀, 열쇠, 비녀못, 손칼, 청동제 띠꾸미개, 홍옥 구슬 등도 출토됐다고 덧붙였다.
재단은 2006년 출범 이후 매년 여름 크라스키노 성을 발굴 조사해 왔다고 밝혔다. 올해에는 재단 역사연구실 연구위원이 발굴을 총괄하고 한국 발굴단 6명과 러시아 쪽 조사팀 40여명이 지난달부터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이번 조사는 오는 15일쯤 마무리될 예정이다.
그런데 이런 발굴 결과를 놓고 마냥 박수만 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조금만 관심을 갖고 살펴보면 이번 보고서는 재탕의 느낌이 강하다. 발굴 결과의 상당수는 2011년 8월 재단이 이미 대대적으로 소개한 바 있다.
당시 재단은 수도가 아닌 지방의 작은 성에 이렇게 잘 정비된 도로가 있었다는 사실에 비추어 염주성에서 매우 활발한 경제활동이 이뤄졌을 것으로 유추했다.
또 성의 북부지역에서 확인된 도로는 너비 6m로 자갈과 모래를 깔아서 만들었고, 층위를 달리해 4겹이 확인된 상태라며 발해 염주성이 계획도시로 도시구획은 발해의 존속기간 전체를 통해 거의 변동이 없었음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1958년 발굴된 둘레 1.2㎞의 크라스키노 성터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 러시아 발굴팀이 처음 시작했다. 이어 1992년 한국의 대륙연구소, 2004년 고구려연구재단을 거쳐 2007년부터 동북아역사재단이 연구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재단은 2016년 재단 출범 10주년 기념사업으로 한·러 공동발굴 20년 성과 보고서와 자료집을 펴낼 계획이라고 한다. 국제학술대회도 계획 중이다.
재단의 해외 발굴 성과를 홍보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면 조금만 수위를 낮췄으면 하는 바람이다. 집중 발굴이 아닌 매년 한 달 남짓한 시간을 투자한 공동 발굴로는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올 수 있을지 의문스럽기 때문이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8-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