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제4대 임금 세종(1418~1450)시대 임금과 신하들이 토론하던 경연(經筵)에서 사용된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완질(59권 59책)이 중국 상하이(上海)도서관에서 발견됐다. 1420년(세종 2년)에 만든 동활자인 경자자(庚子字)로 간행된 것으로, 조선에서 처음 간행된 판본인데다 동일한 인쇄본의 전래가 드문 귀중본(보물급 문화재)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경연은 고려·조선시대 왕이 학문을 연마하고 신하들과 국정을 협의하던 자리를 일컫는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지난 10월 16~24일 상하이도서관과 푸단(復旦)대 도서관 소장 한국전적 조사 과정에서 이를 확인했다. 국내에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청주고인쇄박물관,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호림박물관 등지에 경자자본 자치통감강목이 전하기는 하지만, 모두 1~2책 또는 5책만 남은 낙질본(秩本)이다.
재단은 “이번에 발견된 책에 찍힌 인장(장서인)들을 통해 우리나라 전적의 해외 유출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큰 성과”라고 설명했다. 인장들에 따르면 이 책은 세종 대 경연에서 사용된 뒤 청주한씨(淸州韓氏)와 남양홍씨(南陽洪氏) 집안에 소장됐다 임진왜란(1592~1598) 때 왜군에 약탈돼 일본으로 유출됐고 이후 상하이도서관 소장 선본(善本·귀중본)이 됐다. 책에 날인된 ‘서원한씨’(西原韓氏) ‘숙창희경’(叔昌熙卿) ‘남양후학홍섬퇴지장’(南陽後學洪暹退之章)이라는 인장은 청주한씨 한숙창(1478~1537)과 남양홍씨 홍섬(1504~1585) 등이, ‘비요문고’(尾陽文庫)라는 인장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이, ‘악저서씨장본’(鄂渚徐氏藏本)이라는 인장은 중국 장서가인 ‘쉬수’(徐恕)가 소장했음을 알려준다는 것이다. 재단은 “책의 일부에 날인된 ‘안평지기’(安平之記), ‘경화’(景和)라는 인장은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경자자본 자치통감강목은 상하이도서관 소장본인 11항(行) 21자(字)본 계열 외에도 11항 22자본 계열까지 현재 두 종류 판본이 전한다.
상하이도서관에서는 세조 원년(1455) 을해자본(乙亥字本)으로 간행된 ‘문산선생별집’(文山先生別集)과 16세기에 초주갑인자로 간행된 문선(文選) 32책, 분류보주이태백시(分類補註李太白詩) 16책 등 다른 귀중본도 확인됐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4-12-3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