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품 복원 전문가 김겸 박사, 28년 만에 부식 부분 보존 처리
전두환 독재정권을 향한 국민들의 민주화 외침이 전국을 울리던 1987년 6월 9일. 연세대 2학년 이한열이 머리에 최루탄을 맞고 고꾸라졌다. 이한열은 27일 만에 숨을 거뒀지만 그의 죽음은 대한민국 역사의 지침을 돌려세우는 위대한 이정표가 됐다.
연합뉴스
이한열 열사 운동화의 뒤축 밑창 등이 크게 훼손된 상태로 놓여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운동화의 복원을 맡은 사람은 근현대 미술품 복원 전문가 김겸(47) 박사다. 김 박사는 “많은 이야기가 담긴 운동화이기에 이한열 열사가 신던 그 상태로 되돌리자는 목표를 세웠다”면서 “보관이 잘못돼 변형된 부분은 어쩔 수 없지만 나머지는 최대한 본래 상태로 복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박사는 미국에서 미술가 마르셀 뒤샹의 폴리우레탄 작품을 보존 처리한 기록을 참고하고 있다.
김 박사는 원제품 보존을 위해 운동화 끈조차 풀지 않고 작업 중이다. 그는 “이한열의 이야기는 곧 우리 세대의 이야기”라면서 “역사성을 지닌 사물은 원형대로 관리하고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5-04-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