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유산 전문가 강동진 교수 “산업보다 메이지정신에 초점”
”태평양전쟁기는 쏙 빼…어른을 유아기로만 평가한 꼴”
경성대 도시공학과 강동진(51) 교수는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중에서도 국내에서는 거의 유일한 산업유산(industrial heritage) 전문가로 꼽힌다.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위원회 전문위원이면서 이코모스 코리아(ICOMOS-Korea) 위원이기도 한 그는 원래 도시조경설계가 전공이었지만 2003~2004년 무렵 산업유산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하면서 역사환경 보호와 역사경관 관리 문제를 집중적으로 파고든다. 전통마을 보존·관리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면서 자연히 본래 전공을 살려 산업유산 분야로도 학문 영역을 확장했다.
그러니 일본이 규슈와 야마구치 지역 근대기 산업유산들을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Sites of Japan’s Meiji Indusrial Revolution)’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그것이 특히 우리에게는 민감한 식민 치하 강제동원과 맞물려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강 교수에게 ‘구원 요청’을 하는 일이 부쩍 많아졌다.
마침 서울에 일이 있어 상경한 그를 7일 오후 만나 이번 사태를 어떻게 봐야 하며, 그에 대한 우리의 대응 방안 등을 들어봤다. 그의 가방에는 마침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를 코앞에 둔 메이지 산업유산에 대한 문제점을 조목조목 분석한 보고서가 들어 있었다.
이들 유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심사하는 세계유산위원회(WHC) 자문기구인 이코모스(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에서 이미 ‘등재’(inscribe)를 권고했다. 익히 알려진 대로 강 교수 역시 이코모스가 이미 등재를 권고한 마당에 그것을 막기는 역부족임을 인정했다.
”이코모스 평가는 ‘등재(Inscribe)’·’보류(refer)’·’반려(defer)’·’등재불가(not inscribe)’의 네 가지로 나뉩니다. 세계유산위원회에서는 이를 기초로 세계유산 등재 심사를 합니다. 한데 세계유산위에서 등급이 올라가는 일은 자주 있지만,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등재 권고가 되었다가 보류된 일이 지난 10여년간 딱 한 번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조차도 이코모스 평가가 잘못되어서가 아니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가 개입된 정치적인 사건이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아무리 외교적인 노력을 기울여 국제사회에 호소하고 설득작업을 한다고 해도 (메이지 산업유산들이) 등재될 것은 확실하다고 봐야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강 교수가 보기에 오히려 일본의 등재신청서나 이코모스의 평가는 문제투성이다. 무엇보다 이들 산업유산을 일본은 1850년대 이후 1910년대까지로 한정했다. 이 점이 강 교수가 보기에는 우선 말이 안 된다.
”산업유산형 세계유산은 탄생기에서 현재 상태에 이르는 전 과정이 평가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단, 한정된 기간만을 대상으로 할 경우 반드시 해당 시기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일본이 메이지 산업유산이라고 묶은 23곳을 보면 현재도 작동 중인 곳이 3~4개가 있는 데다가, 그 대부분은 메이지시대 이후, 특히 태평양전쟁기에 극성을 구가한 군수산업시설입니다. 이런 이후의 역사는 쏙 빼버리고 특정한 시기만을 떼어내서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수는 없습니다.”
그는 이런 일을 “성인을 평가하면서 유아기만 쏙 빼내 그 사람 전체를 재단하는 일과 같다”고 비유한다. 그러면서 강 교수는 “어린아이로 착하지 않은 아이 있느냐”고 되물었다. 착한 일본만을 부각하려 했다는 것이다.
일본은 이들 산업유산이 서구의 산업화가 비(非)서구 사회, 즉 일본으로 성공적으로 이전한 사례의 증거물로 소개한다.
하지만 메이지시대라 해서 이들 산업유산이 일본이 말하듯이 자랑스러운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역시 강 교수가 보기에는 큰 문제다.
”8개 지역 이들 산업유산은 서구 산업기술이 어떻게 일본에 전이되었는지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이 부족할뿐더러, 산업발달 단계를 종합적·체계적으로 보여주는 것도 아닙니다. 나아가 그 내용을 보면 이들 산업시설은 조선·제철·석탄광업에 국한하며, 이들은 모두 부국강병을 추구한 메이지시대 일본의 군수산업 시설이었습니다. 실제 이들 공장에서 생산한 무기와 군수품이 청일전쟁이나 러일전쟁의 승리 기반이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이런 역사의 부정적인 측면들이 일본의 등재신청서 어디에서 설명이 없습니다.”
나아가 8개 지역 23곳 산업유산으로 한 묶음한 내역 자체도 연결성이 부족하기 짝이 없다고 한다. 산업혁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무실이나 교육시설, 마을 등이 7개소나 포함되었다는 것이다.
”예컨대 교육시설인 쇼카손주쿠가 포함됐지만 이는 산업혁명을 주도한 인재 양성 목적이 아니라 이토 히로부미를 비롯한 메이지유신을 일으킨 주역들이 교육받던 곳입니다. 연결성이 부족한 23곳을 관통하는 하나의 분모는 ‘산업혁명’이 아니라 ‘메이지정신’입니다. 저는 저들 산업유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통해 일본이 노린 것은 메이지시대의 부각이라고 봅니다. 이를 의욕적으로 밀어붙였으며, 야마구치 태생인 아베 총리의 역사관과도 맞물려 있다고 봅니다.”
연결성이 부족한 여러 유산을 하나로 묶으려 한 일을 강 교수는 이렇게 비유했다.
”지금 우리가 한국의 전통산사라는 이름으로 7개 사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 하지 않습니까? 한데 일본의 이번 등재 방향을 보면 법주사에서는 일주문만을, 마곡사에서는 대웅전만을, 부석사에서는 무량수전만을 떼어내 이들을 묶어 한국의 전통산사를 만들려고 하는 일과 같습니다.”
나아가 일본은 이들 산업유산이 일본 근대산업의 핵심인 것처럼 설명하지만, 산업혁명 본거지인 영국도 그렇고, 일본 역시 마찬가지로 그 핵심은 군수시설이 아닌 방적·방직산업이라고 한다. 등재신청서 요지와 실제가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데 일본 역시 근대화에서 방적·방직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잘 알아 이미 지난해 도미오카 비단공장과 관련 산업시설들을 이미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 강 교수는 “이들 23개소는 실질적으로 메이지시대에 작동한 최고의 산업시설이 아니다”고 단언한다.
등재 후보지 중 7곳이 태평양전쟁기에 조선인 강제징용의 혹사 현장이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본은 등재 신청 하한선을 1910년으로 잡았기 때문에 그 이후 이들 산업유산의 역사는 언급이 거의 없다. 다만 하시마탄광과 다마시마탄광, 그리고 나가사키조선소를 언급하면서 “몇몇 탄광에서는 죄수노동(convict labor)이 노동력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했다”는 언급이 보일 뿐, 노동력 강제징발이 어떤 방식으로, 얼마만큼, 어디에서 이뤄졌는지는 전연 언급이 없다.
강 교수는 “등재신청서 중 역사 편을 보면 중일전쟁과 러일전쟁이 나오기는 하지만 이들 산업시설이 이들 전쟁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는 제시하지 않는다”면서 “특히 건조한 선박 중 군함은 전연 언급이 없는 대신 여객선 관련 내용만 나온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일본이 등재 신청한 이들 산업유산의 진정한 가치, 다시 말해 유네스코가 말하는 세계유산의 절대 조건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Outstanding Universal Value)는 ‘아시아 최초의 근대 산업유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그리고 태평양전쟁의 도구였고 강제동원의 현장이었다는 데 있다”고 잘라 말했다.
따라서 이런 부정적인 역사를 보유한 이들 산업시설을 그런 면을 숨긴 채 세계유산으로 등재한다는 것은 세계인류의 공감도 얻지 못할뿐더러, 유네스코 정신에도 위배된다고 강 교수는 주장한다.
그렇다면 다음달 말부터 7월초까지 독일 본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 즈음해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우선 강 교수는 단기 전략으로 일본이 내세우는 이들 유산의 가치를 근원적으로 반대하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 일본의 시민단체나 국제사회와 연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들 산업시설 중 상당수가 주변국 인권 침해의 현장이기에 같은 피해국가인 중국과의 연대는 중요하다고 본다.
나아가 이번 기회에 일본 내 강제동원 관련 유산들의 보존 및 기념화 사업을 요청할 필요도 있다고 강조한다. 일본이 최근 시베리아 포로 기록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려는 것과 같은 움직임을 우리가 일본에 대해 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중장기 전략으로는 등재가 이뤄질 경우 강제동원 관련 유산들은 추후 지속적인 삭제 요청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나아가 한·중 강제동원 공동박물관 건립도 추진해 봄 직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참에 “강제동원 관련 기록물들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 교수는 말했다.
연합뉴스
”태평양전쟁기는 쏙 빼…어른을 유아기로만 평가한 꼴”
경성대 도시공학과 강동진(51) 교수는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중에서도 국내에서는 거의 유일한 산업유산(industrial heritage) 전문가로 꼽힌다.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위원회 전문위원이면서 이코모스 코리아(ICOMOS-Korea) 위원이기도 한 그는 원래 도시조경설계가 전공이었지만 2003~2004년 무렵 산업유산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하면서 역사환경 보호와 역사경관 관리 문제를 집중적으로 파고든다. 전통마을 보존·관리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면서 자연히 본래 전공을 살려 산업유산 분야로도 학문 영역을 확장했다.
그러니 일본이 규슈와 야마구치 지역 근대기 산업유산들을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Sites of Japan’s Meiji Indusrial Revolution)’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그것이 특히 우리에게는 민감한 식민 치하 강제동원과 맞물려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강 교수에게 ‘구원 요청’을 하는 일이 부쩍 많아졌다.
마침 서울에 일이 있어 상경한 그를 7일 오후 만나 이번 사태를 어떻게 봐야 하며, 그에 대한 우리의 대응 방안 등을 들어봤다. 그의 가방에는 마침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를 코앞에 둔 메이지 산업유산에 대한 문제점을 조목조목 분석한 보고서가 들어 있었다.
이들 유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심사하는 세계유산위원회(WHC) 자문기구인 이코모스(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에서 이미 ‘등재’(inscribe)를 권고했다. 익히 알려진 대로 강 교수 역시 이코모스가 이미 등재를 권고한 마당에 그것을 막기는 역부족임을 인정했다.
”이코모스 평가는 ‘등재(Inscribe)’·’보류(refer)’·’반려(defer)’·’등재불가(not inscribe)’의 네 가지로 나뉩니다. 세계유산위원회에서는 이를 기초로 세계유산 등재 심사를 합니다. 한데 세계유산위에서 등급이 올라가는 일은 자주 있지만,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등재 권고가 되었다가 보류된 일이 지난 10여년간 딱 한 번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조차도 이코모스 평가가 잘못되어서가 아니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가 개입된 정치적인 사건이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아무리 외교적인 노력을 기울여 국제사회에 호소하고 설득작업을 한다고 해도 (메이지 산업유산들이) 등재될 것은 확실하다고 봐야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강 교수가 보기에 오히려 일본의 등재신청서나 이코모스의 평가는 문제투성이다. 무엇보다 이들 산업유산을 일본은 1850년대 이후 1910년대까지로 한정했다. 이 점이 강 교수가 보기에는 우선 말이 안 된다.
”산업유산형 세계유산은 탄생기에서 현재 상태에 이르는 전 과정이 평가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단, 한정된 기간만을 대상으로 할 경우 반드시 해당 시기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일본이 메이지 산업유산이라고 묶은 23곳을 보면 현재도 작동 중인 곳이 3~4개가 있는 데다가, 그 대부분은 메이지시대 이후, 특히 태평양전쟁기에 극성을 구가한 군수산업시설입니다. 이런 이후의 역사는 쏙 빼버리고 특정한 시기만을 떼어내서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수는 없습니다.”
그는 이런 일을 “성인을 평가하면서 유아기만 쏙 빼내 그 사람 전체를 재단하는 일과 같다”고 비유한다. 그러면서 강 교수는 “어린아이로 착하지 않은 아이 있느냐”고 되물었다. 착한 일본만을 부각하려 했다는 것이다.
일본은 이들 산업유산이 서구의 산업화가 비(非)서구 사회, 즉 일본으로 성공적으로 이전한 사례의 증거물로 소개한다.
하지만 메이지시대라 해서 이들 산업유산이 일본이 말하듯이 자랑스러운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역시 강 교수가 보기에는 큰 문제다.
”8개 지역 이들 산업유산은 서구 산업기술이 어떻게 일본에 전이되었는지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이 부족할뿐더러, 산업발달 단계를 종합적·체계적으로 보여주는 것도 아닙니다. 나아가 그 내용을 보면 이들 산업시설은 조선·제철·석탄광업에 국한하며, 이들은 모두 부국강병을 추구한 메이지시대 일본의 군수산업 시설이었습니다. 실제 이들 공장에서 생산한 무기와 군수품이 청일전쟁이나 러일전쟁의 승리 기반이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이런 역사의 부정적인 측면들이 일본의 등재신청서 어디에서 설명이 없습니다.”
나아가 8개 지역 23곳 산업유산으로 한 묶음한 내역 자체도 연결성이 부족하기 짝이 없다고 한다. 산업혁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무실이나 교육시설, 마을 등이 7개소나 포함되었다는 것이다.
”예컨대 교육시설인 쇼카손주쿠가 포함됐지만 이는 산업혁명을 주도한 인재 양성 목적이 아니라 이토 히로부미를 비롯한 메이지유신을 일으킨 주역들이 교육받던 곳입니다. 연결성이 부족한 23곳을 관통하는 하나의 분모는 ‘산업혁명’이 아니라 ‘메이지정신’입니다. 저는 저들 산업유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통해 일본이 노린 것은 메이지시대의 부각이라고 봅니다. 이를 의욕적으로 밀어붙였으며, 야마구치 태생인 아베 총리의 역사관과도 맞물려 있다고 봅니다.”
연결성이 부족한 여러 유산을 하나로 묶으려 한 일을 강 교수는 이렇게 비유했다.
”지금 우리가 한국의 전통산사라는 이름으로 7개 사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 하지 않습니까? 한데 일본의 이번 등재 방향을 보면 법주사에서는 일주문만을, 마곡사에서는 대웅전만을, 부석사에서는 무량수전만을 떼어내 이들을 묶어 한국의 전통산사를 만들려고 하는 일과 같습니다.”
나아가 일본은 이들 산업유산이 일본 근대산업의 핵심인 것처럼 설명하지만, 산업혁명 본거지인 영국도 그렇고, 일본 역시 마찬가지로 그 핵심은 군수시설이 아닌 방적·방직산업이라고 한다. 등재신청서 요지와 실제가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데 일본 역시 근대화에서 방적·방직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잘 알아 이미 지난해 도미오카 비단공장과 관련 산업시설들을 이미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 강 교수는 “이들 23개소는 실질적으로 메이지시대에 작동한 최고의 산업시설이 아니다”고 단언한다.
등재 후보지 중 7곳이 태평양전쟁기에 조선인 강제징용의 혹사 현장이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본은 등재 신청 하한선을 1910년으로 잡았기 때문에 그 이후 이들 산업유산의 역사는 언급이 거의 없다. 다만 하시마탄광과 다마시마탄광, 그리고 나가사키조선소를 언급하면서 “몇몇 탄광에서는 죄수노동(convict labor)이 노동력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했다”는 언급이 보일 뿐, 노동력 강제징발이 어떤 방식으로, 얼마만큼, 어디에서 이뤄졌는지는 전연 언급이 없다.
강 교수는 “등재신청서 중 역사 편을 보면 중일전쟁과 러일전쟁이 나오기는 하지만 이들 산업시설이 이들 전쟁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는 제시하지 않는다”면서 “특히 건조한 선박 중 군함은 전연 언급이 없는 대신 여객선 관련 내용만 나온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일본이 등재 신청한 이들 산업유산의 진정한 가치, 다시 말해 유네스코가 말하는 세계유산의 절대 조건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Outstanding Universal Value)는 ‘아시아 최초의 근대 산업유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그리고 태평양전쟁의 도구였고 강제동원의 현장이었다는 데 있다”고 잘라 말했다.
따라서 이런 부정적인 역사를 보유한 이들 산업시설을 그런 면을 숨긴 채 세계유산으로 등재한다는 것은 세계인류의 공감도 얻지 못할뿐더러, 유네스코 정신에도 위배된다고 강 교수는 주장한다.
그렇다면 다음달 말부터 7월초까지 독일 본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 즈음해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우선 강 교수는 단기 전략으로 일본이 내세우는 이들 유산의 가치를 근원적으로 반대하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 일본의 시민단체나 국제사회와 연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들 산업시설 중 상당수가 주변국 인권 침해의 현장이기에 같은 피해국가인 중국과의 연대는 중요하다고 본다.
나아가 이번 기회에 일본 내 강제동원 관련 유산들의 보존 및 기념화 사업을 요청할 필요도 있다고 강조한다. 일본이 최근 시베리아 포로 기록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려는 것과 같은 움직임을 우리가 일본에 대해 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중장기 전략으로는 등재가 이뤄질 경우 강제동원 관련 유산들은 추후 지속적인 삭제 요청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나아가 한·중 강제동원 공동박물관 건립도 추진해 봄 직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참에 “강제동원 관련 기록물들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 교수는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