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환기 작품 47억2천만원…국내 미술품 경매 최고가

김환기 작품 47억2천만원…국내 미술품 경매 최고가

입력 2015-10-06 07:41
수정 2015-10-06 07: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환기(1913-1974) 화백의 작품이 국내 미술품 경매 최고가를 바꿔놓았다.

미술품 경매 전문회사 서울옥션이 5일 홍콩 르네상스 하버뷰 호텔에서 실시한 제16회 홍콩경매에서 김환기의 1971년작인 전면 점화 ‘19-Ⅶ-71 #209’(253×202cm)가 3천100만 홍콩달러, 한화 약 47억2천100만원에 낙찰됐다.

이로써 이 작품은 2007년 5월 서울옥션 국내 경매에서 45억2천만원에 낙찰된 박수근 화백의 ‘빨래터’를 제치고 국내 작가 미술품 중 경매 최고가를 기록했다고 서울옥션 관계자는 전했다.

이날 경매에서 시작가 약 30억원(2천만 홍콩달러)에 나온 이 작품은 경합 끝에 아시안 컬렉터에게 낙찰됐다.

이 작품은 단색화 열기의 물꼬를 튼 전시로 평가받는 2012년 국립현대미술관 단색화 전시에 출품됐던 4점 중 한 점이다. 지금까지 시장에 나온 김환기 작가의 전면 점화 가운데 가장 큰 대작(大作)이다.

지금까지 경매에서 최고가로 낙찰된 김환기의 작품은 ‘꽃과 항아리’ 80호로 30억5천만원에 팔려나갔다.

서울옥션 관계자는 “이번 경매로 국내 미술품 경매 최고가 기록이 만 9년만에 깨지게 됐다”며 “김환기 작품이 해외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낙찰됨에 따라 국내 작품에 대한 해외 컬렉터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 경매에서는 김환기를 비롯, 국내 단색화 작가들의 작품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시작가 약 6억원(400만 홍콩달러)에 나온 정상화의 ‘무제 05-3-25’는 11억4천200만원(750만 홍콩달러)에 낙찰됐다.

이날 경매에서 최고가를 기록한 작품은 프랑스 태생의 미국 추상표현주의 조각가인 루이스 부르주아의 콰란타니아(Quarantania)로 약 45억원(3천만 홍콩달러)에 경매가 시작돼 54억8천만원(3천600만 홍콩달러)에 주인을 찾았다.

이밖에 이밖에 박수근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앉아 있는 여인’은 약 19억원(1천300만 홍콩달러)에, 이응노의 ‘군상’은 약 1억2천만원(80만 홍콩달러)에 각각 낙찰됐다.

이로써 이날 경매에서는 출품된 67개 작품 중 60개가 낙찰돼 낙찰률 90%를 기록했으며, 낙찰총액은 232억원에 달했다.

서울옥션 관계자는 “해외 경매 실적이 국내 실적을 넘어서는 추세”라고 전했다.

한편, 하루 전인 지난 4일 같은 장소에서 진행된 K옥션의 홍콩경매에서도 국내 단색화 작가의 인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경매 낙찰률은 93%, 판매총액은 82억2천400만원에 달한 가운데 정상화의 ‘무제 77-8-12’와 김환기의 ‘07-Vlll-68#34’가 각각 7억8천918만원에 판매돼 나란히 최고가를 기록했다.

또 박서보의 ‘묘법 No.235~85’는 1억7천936만원, 정상화의 ‘무제 82-10-C’는 1억4천348만원, ‘무제 12-3-7’은 1억2천555만원에 각각 팔려나갔다.

홍콩에서 전시 중인 백남준의 작품 2점도 모두 경합 끝에 판매됐는데, 특히 1994년 제작된 대표작 ‘토성인’(Saturnian)이 추정가의 두 배에 달하는 3억5천872만원에 판매됐다.

이밖에 이우환의 ‘선으로부터 8309-5’는 1억7천39만원에 판매됐고, ‘조응’ 역시 경합 끝에 6천456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