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환수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발굴유물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 보물로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조선 후기 불화 두 점이 국보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불화인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와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가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했다고 26일 밝혔다. 일본에서 환수된 문화유산인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를 비롯해 발굴 유물인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은 보물로 지정됐다.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는 그림 아래쪽에 1729년(조선 영조 5)이라는 제작 연대와 의겸 등 그림을 제작한 화승들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다. 이 가운데 제작 책임자 격인 의겸을 붓의 신선인 ‘호선’이라는 특별한 호칭으로 기록해 그의 뛰어난 기량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림은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했다. 가운데 석가여래는 크게 부각하고 나머지 도상은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작게 그려 상승감을 표현했다.
전체적으로 조선 후기 불화의 색채를 유지하면서도, 제자들의 얼굴 표현, 그리고 세부 문양에서는 조선 전기 불화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가는 금선으로 세밀하게 표현해 화려함을 더하는 등 뛰어난 예술성을 지닌 작품이라고 국가유산청은 설명했다.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는 중앙의 영산회상도, 좌측의 약사여래설법도, 우측의 아미타여래설법도 3폭으로 구성된 그림이다. 현존하는 삼불회도 중 3폭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되고 크기가 큰 작품으로 꼽힌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국가유산청이 지난해 일본에서 환수한 유물이다. 뚜껑과 몸체, 안쪽에 공간을 분리하는 속상자로 구성돼 있다. 전형적인 고려 나전칠기 제작 방식으로 제작됐다. 표면에는 전체적으로 총 770개의 국화넝쿨무늬를 넣었고 부수적으로 거북이 등딱지 모양 무늬, 구슬을 꿰맨 듯 연결해 만든 무늬 등을 사용했다.
보물로 지정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또 다른 보물인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은 2015년 강원 양양 선림원지의 승방터(승려들이 거주하는 곳)로 추정되는 곳에서 발굴된 작품이다.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이례적으로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성스러운 빛을 형상화한 광배와 불상을 올려놓는 받침인 대좌까지 온전히 갖춘 희귀한 작품이다. 광배를 포함한 높이가 66.7㎝로, 정확한 출토지를 알 수 있는 발굴품 중 가장 큰 보살상이다. 엎어진 채로 발견됐는데 도금 상태로 볼 때 제작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매몰된 후 1100여년이 지나 원래 봉안 장소에서 그대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