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美서 고국으로 돌아온 덕온공주 집안 한글자료 68점 공개
조선의 마지막 공주 덕온공주가 원문에 토를 달아 한글로 쓰고 이어 우리말 번역문을 적은 ‘자경전기’.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지난해 11월 미국 개인 소장자에게 매입해 국내로 들여온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자료’ 68점을 16일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공개했다. 순조와 순원왕후(1789~1857) 사이에서 태어난 덕온공주는 1837년 양반가 자제 윤의선(1823~1887)과 혼례를 올렸지만 결혼 7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윤의선은 덕온공주와의 사이에 자녀가 없어 윤용구(1853~1939)를 양자로 들였다.
문화재청 산하 국외소재문화재재단과 국립한글박물관이 협력해 환수한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자료’는 덕온공주와 양자 윤용구, 손녀 윤백영(1888~1986) 등 왕실 후손이 3대에 걸쳐 작성한 한글 책과 편지, 서예 작품 등으로 구성됐다.
조선의 마지막 공주 덕온공주가 원문에 토를 달아 한글로 쓰고 이어 우리말 번역문을 적은 ‘자경전기’.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자경전기’는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홍씨를 위해 창경궁에 지은 전각인 ‘자경전’의 유래 등을 적은 글이다. 순조가 효의왕후(정조의 비)의 명을 받들어 1808년 한문으로 지은 것인데, 이 원문을 덕온공주의 어머니 순원왕후가 딸에게 명하여 토를 달아 한글로 풀어 쓰게 한 뒤 이어 우리말 번역문을 적게 했다. 박영국 국립한글박물관장은 “(혜경궁홍씨로부터 덕온공주까지) 조선 왕조 4대에 걸쳐 효를 실천한 것을 보여 주는 유물이자 서예가로서의 덕원공주의 역량을 보여 주는 유물”이라고 평가했다. ‘규훈’은 여성이 지켜야 할 덕목이나 예절 등을 기록한 수신서 성격의 책으로 덕온공주가 한글 번역문을 궁체로 적었다.
환수 자료에는 왕실에서 작성한 한글 편지와 왕실 여성들을 위한 한글 역사서도 다수 포함돼 있다.
신정왕후(익종 비)가 덕온공주의 아들 윤용구의 첫 번째 부인 광산김씨에게 보낸 편지로 조선 최고의 명필로 꼽히는 궁중 여성 서기 이씨가 왕후를 대신해 썼다.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덕온공주의 아들인 윤용구의 딸에 대한 사랑이 엿보이는 한글 역사서도 있다. 1899년 당시 12세이던 딸 백영을 위해 중국 역사에서 모범적이었던 여성 30명의 행적을 적은 ‘여사초략’(女史抄略)이다. 한문으로 적은 부분에 붉은 색으로 하나하나 토를 달아 놓고 그 뒤에 한글로 번역한 것인데 당시 왕실 집안에서 어떤 식으로 교육을 했는지 짐작해 볼 수 있다.
덕온공주의 손녀 윤백영이 1934년에 환소군의 전기를 궁체로 쓴 ‘환소군전’.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9-01-1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