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전기 불상 불대좌 자리 추정 “북한 정양사와 관련성 연구 필요”
화천군과 강원고고문화연구원은 보물 제496호 화천 계성리 석등 주변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에서 육각형 건물터와 석탑터, 석등터, 중문터 등을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지역은 고려 전기에 지었다가 조선 시대 재건한 뒤 18세기쯤 폐사한 계성사 사찰 터(아래)로 추정된다. 이번에 발견한 육각형 건물터는 남북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문지, 석탑지, 동서 석등지, 금당 추정 육각형 건물지가 위치하는 1탑 1금당 배치 형태다. 금당은 절의 본당으로 본존불을 모신 건물이다.
기단 한 변 길이가 약 5.4~5.7m, 마루 서까래 뒷목 보강을 위해 눌러 박은 큰 원목인 적심 지름이 약 1.8~2.2m이다. 면적은 기단을 기준으로 88.2㎡에 이른다. 이 지역은 조선 시대 평면 사각형으로 재건했다. 정면 3칸, 옆면 3칸 면적 약 132.7㎡로 확장했으며 중앙에 평면 육각형 할석(쪼갠 돌)이 깔려 있어 불상 불대좌가 놓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육각형 모양 법당지 발견은 국내 최초로, 북한 금강산 정양사와 비슷하다. 연구원 측은 고려 전기 관리 최사위의 묘지명에 계성사와 정양사 창건에 관여한 행적이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원 측은 “계성사와 정양사 모두 육각형을 모형으로 법당, 석탑, 석등을 축조했다. 최사위가 두 사찰을 거의 같은 설계구도로 조성했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정양사가 금강산 관광 코스에 있는 만큼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면 남북이 두 사찰을 공동 연구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10-0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