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우재 신작 연극 ‘미국 아버지’ 알카에다 참수 실존 인물 모티브
“분노가 분노를 낳아. 분노를 내려놓고 용서해.”테러 집단의 손에 아들을 잃은 아버지에게 스쳐가듯 건네진 한마디 말이다. 머리로는 이해가 되지만 가슴으로는 받아들이기 힘든 명제다. 극작가 겸 연출가 장우재의 신작 ‘미국 아버지’는 복수 대신 용서를 택하고 반전(反戰) 운동에 나선 한 실존 인물을 모티프로 한 이야기다.
지난해 ‘여기가 집이다’로 대한민국 연극대상 대상과 희곡상을 수상하는 등 풍부한 상상력으로 한국 현대사와 자본주의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을 보여 주는 장 연출가는 이번 작품에서도 이야기꾼으로서의 진면목을 드러낸다. 과거와 현재, 현실과 환각을 오가며 실존 인물이 겪었던 성찰과 사유를 관객의 몫으로 돌린다.
작품의 모티프가 된 건 2004년 알카에다에 의해 참수됐던 미국인 닉 버그의 아버지인 마이클 버그다. 그의 아들이 참수되는 모습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됐다. 그는 영국의 반전 단체로부터 집회에 참석해 달라는 연락을 받고 한 통의 편지로 갈음했다. 그는 편지에서 슬픔 대신 담담하고 힘 있는 어조로 현대사회와 자본주의, 전쟁의 이면을 꿰뚫었다. 장 연출가는 당시 한 대학 캠퍼스를 거닐다 대자보에 실린 편지를 본 것이 작품의 시작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혈연을 넘어 인류 전체를 사유하는 인간을 봤다”고 돌이켰다.
베트남전쟁 때부터 반전 활동을 해 온 마이클 버그는 작품 속에서 도시 빈곤층인 ‘빌’로 변주됐다. 직장에서 불합리한 요구를 받아내다 버려진 그는 마약을 탐닉하며 세상을 냉소한다. 젊은 날 사랑하는 여인을 빼앗아 간 친구는 뉴욕시에서 높은 자리에 올랐고, 일자리를 구하러 찾아온 그를 모욕한다. 미국 자본주의 사회의 밑바닥에 놓여 있는 그는 가슴속에 분노와 증오가 가득하다. 친구가 9·11테러에 희생당하자 “잘했어, 알카에다”라며 냉소를 짓기까지 한다.
그러나 그의 복수를 대신했던 알카에다는 미국에 대한 복수라며 그의 아들마저 죽인다. 그의 내면은 혼돈의 소용돌이에 휩쓸린다. 증오가 낳은 복수로 아들을 잃은 그 역시 누군가를 증오했었고 지금도 증오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약에 취한 그의 앞에 옛 연인과 연인을 빼앗아 간 친구, 아들, 젊은 날의 자신의 환영이 차례로 다가온다. 너의 분노가 아들을 죽였다고, 분노를 버려야 비극도 끝난다고 설득하는 환영들에게 빌은 마구 총질한다. 물론 그들은 죽지 않는다.
아들을 잃은 슬픔을 딛고 반전 운동가의 삶을 사는 영웅을 그려낼 것만 같았던 연극은 결말에 이르러 예상을 완전히 뒤집는다. 주인공 빌은 실존 인물인 마이클 더그처럼 꿋꿋한 삶을 이어 가지 못한다. 공연 말미에 무대 뒤 스크린에 떠오르는 마이클 더그의 편지는 무대 위 빌과 대조되면서 객석에 질문을 던진다. 분노와 증오를 넘어서는 용서가 가능하냐고, 왜 세상에는 비극적인 죽음이 끊이지 않느냐고. 애초 연출의 목표는 마이클 더그의 삶과 사유를 재현하는 것이었다. 장 연출가는 “영웅 이야기에 빠지는 것보다 그의 존재와 사유를 관객들과 공유하는 게 더 의미 있겠다는 생각에 방향을 틀었다”고 말했다. 8일까지 서울 중구 동국대 이해랑예술극장. 전석 3만원. (02)764-7462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4-11-0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