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작곡가 와일드혼·쿤체-레버이 콤비 작품 감성적이고 이야기·음악의 강약 조절 탁월…와일드혼 다작 탓에 “거기서 거기” 지적도 “완성도 고려없이 이름값 기댄 수입 자제를”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드라큘라’ ‘황태자 루돌프’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정답은 미국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뮤지컬 ‘모차르트!’ ‘엘리자벳’ ‘레베카’ ‘마리 앙투아네트’는 독일 극작가 미하엘 쿤체와 헝가리 작곡가 실베스터 르베이 콤비의 작품이라는 연결고리를 공유한다. 이처럼 올해 공연계에서는 몇몇 인기 작가와 작곡가의 뮤지컬을 찾는 게 어렵지 않게 됐다. 그만큼 ‘믿고 본다’는 의미이지만, 아쉬운 작품도 더러 나와 이름값을 무색케 하기도 한다.이들의 작품은 한국 관객의 감성을 강하게 파고드는 특징이 있다. 프랭크 와일드혼은 2004년 ‘지킬 앤 하이드’가 한국에서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인기 작곡가로 떠올랐다. 팝 작곡가로 커리어를 시작한 그의 음악은 한국의 대중가요를 듣는 듯 감성적이면서 ‘한방’이 있다. 지난해에는 ‘몬테크리스토’ ‘스칼렛 핌퍼넬’ 등 총 5편이 국내 무대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올해도 ‘보니 앤 클라이드’부터 ‘지킬 앤 하이드’까지 총 4편이 올랐다.
와일드혼에 이어 국내에서 인기를 얻은 것이 쿤체-르베이 콤비다. 최근 몇 년 새 국내에 불어닥친 ‘비엔나 (오스트리아) 뮤지컬’ 열풍의 중심에 있는 이들은 2010년 ‘모차르트!’의 성공을 계기로 ‘엘리자벳’과 ‘레베카’를 줄줄이 흥행시켰다. 쇼를 중시하는 브로드웨이 뮤지컬과는 달리 비엔나 뮤지컬은 드라마를 중시한다. 쿤체-르베이 콤비의 작품을 국내에 들여온 EMK뮤지컬컴퍼니는 “이야기 전개와 음악이 극적이며 강약 조절이 탁월하다”고 말했다.
한국 관객에 맞춘 변형이 가능한 것도 이들 작품의 인기 비결이다. 이들 작품은 한국 관객의 취향에 맞춰 대본을 수정하거나 넘버를 추가하기도 한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한국 공연을 위해 9곡을 새로 쓰고 주요 인물의 비중을 조정했다. 원종원 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브로드웨이에서는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작품 4편이 동시에 공연된 적도 있다”면서 “뮤지컬에서 음악이 중요한 만큼 인기 작곡가의 작품이 줄을 잇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인기 작가·작곡가의 명성이 완성도까지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프랭크 와일드혼의 올해 초연작 ‘드라큘라’는 빈약한 줄거리와 단조로운 음악 탓에 배우들의 열연에도 불구하고 아쉬움을 남겼다. 그의 작품으로 지난해 초연된 ‘카르멘’은 원작을 신파 애정극으로 변주하면서 설득력이 떨어졌고 음악도 큰 인상을 남기지 못했다. 그가 다작(多作)을 하는 탓에 ‘음악이 거기서 거기’라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1일 개막한 ‘마리 앙투아네트’도 쿤체-르베이 콤비의 이전 작품과는 달리 의견이 분분하다. 프랑스 로코코 양식을 재현한 화려한 의상과 극적인 스토리, 웅장한 음악은 여전히 화제다. 그러나 마리 앙투아네트를 재조명하는 과정에서 프랑스 혁명을 ‘유언비어와에 현혹돼 일어난 난동’인 양 묘사한 점이 지적받고 있다. 일부 세력의 음모와 이들이 퍼뜨린 루머에 휩쓸린 민중들의 마녀사냥을 부각시켜 혁명의 가치를 폄훼했고, 그 과정도 개연성이 부족하다는 평이 많다.
프랭크 와일드혼은 브로드웨이에서 크게 인정받는 작곡가가 아닌데도 한국에서 ‘거장’처럼 과대포장됐다는 비판도 있다. 쿤체-르베이 콤비의 작품들은 의상과 무대, 넘버는 화려하나 이야기 구조가 앙상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때문에 인기 창작자의 작품이라도 검증은 필수다. 원종원 교수는 “‘지킬 앤 하이드’처럼 한국에서 완성도를 높여 스테디셀러가 된다면 바람직하지만, 완성도를 고려하지 않은 채 이름값에만 기댄 수입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4-11-1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